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관계자들이 오늘 오전 비공개 회의를 열었습니다.
여기서 내년 학년도에는 의대를 '0명 증원'하기로 결정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지난해 정원이 2천 명 늘면서 현재 의대 모집 정원은 5,058명입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생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수업 가능 수준'으로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내년 학년도에 한해 '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대다수 의대생이 복귀 등록만 하고 수업 참여는 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번 학기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사실상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학생 복귀율'과 상관 없이 정원 동결을 확정할 거로 예상됩니다.
다만, 정부가 "더는 학사 유연화 같은 조치가 없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또 의대생에게 물러나느냐"는 비판과 특혜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정부는 내일 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공식 발표할 계획입니다.
오늘 오후에는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온라인 회의도 하는데, 이 자리에서도 내년도 증원 0명을 결정해 정부에 건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생 복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의대 학생 단체는 여전히 '증원 백지화' 등을 고수하며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의대생 내부에서 이제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유급 예정일을 지난 대학들이 실제로 유급 예정 통보를 보내는 것도 복귀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어제 의대 학장단은 호소문을 통해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될 거고, 지금 복귀하지 않으면 학번 분리 교육이 어렵다는 점을 다시 분명히 밝혔습니다.
의사협회도 앞서 정부가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면 학생 복귀에 적극적인 메시지를 내겠다고 언급했습니다.
따라서 유급 현실화에 선배 의사들 설득이 더해질 경우 26학년도 '0명 증원'이 의대생들이 복귀하는 데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교육부에서 YTN 이문석입니다.
자막뉴스ㅣ이 선,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16141515230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여기서 내년 학년도에는 의대를 '0명 증원'하기로 결정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지난해 정원이 2천 명 늘면서 현재 의대 모집 정원은 5,058명입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생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수업 가능 수준'으로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내년 학년도에 한해 '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대다수 의대생이 복귀 등록만 하고 수업 참여는 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번 학기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사실상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학생 복귀율'과 상관 없이 정원 동결을 확정할 거로 예상됩니다.
다만, 정부가 "더는 학사 유연화 같은 조치가 없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또 의대생에게 물러나느냐"는 비판과 특혜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정부는 내일 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공식 발표할 계획입니다.
오늘 오후에는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온라인 회의도 하는데, 이 자리에서도 내년도 증원 0명을 결정해 정부에 건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생 복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의대 학생 단체는 여전히 '증원 백지화' 등을 고수하며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의대생 내부에서 이제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유급 예정일을 지난 대학들이 실제로 유급 예정 통보를 보내는 것도 복귀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어제 의대 학장단은 호소문을 통해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될 거고, 지금 복귀하지 않으면 학번 분리 교육이 어렵다는 점을 다시 분명히 밝혔습니다.
의사협회도 앞서 정부가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면 학생 복귀에 적극적인 메시지를 내겠다고 언급했습니다.
따라서 유급 현실화에 선배 의사들 설득이 더해질 경우 26학년도 '0명 증원'이 의대생들이 복귀하는 데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교육부에서 YTN 이문석입니다.
자막뉴스ㅣ이 선,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16141515230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네, 그렇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부, 복지부 등 관계자들이 오늘 오전 비공개 회의를 열었습니다.
00:06여기서 내년 학년도엔 의대를 0명 증원하기로 결정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00:11지난해 정원이 2천 명 늘면서 현재 의대 모집 정원은 5천 58명입니다.
00:17앞서 교육부는 의대생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수업 가능 수준으로 학생들이 복귀할 경우 내년 학년도에 한해 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00:25현재는 대다수 의대생이 복귀 등록만 하고 수업 참여는 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00:31하지만 정부는 이번 학기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사실상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학생 복귀일과 상관없이 정원 동결을 확정할 거로 예상됩니다.
00:41다만 정부가 더는 학사 유연화 같은 조치가 없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또 의대생에게 물러나느냐는 비판과 특혜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00:51정부는 내일 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공식 발표할 계획입니다.
00:56오늘 오후에는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온라인 회의를 여는데 이 자리에서도 매년도 증원 0명을 정부에 건의할 거로 보입니다.
01:06의대생 복귀 여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01:10일단 의대 학생 단체는 여전히 증원 백지화 등을 고수하며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01:16다만 의대생 내부에서 이제는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01:22유급 예정일을 지난 대학들이 실제로 유급 예정 통보를 보내는 것도 복귀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01:29어제 의대 학장단은 호소문을 통해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될 거고 지금 복귀하지 않으면 학번 분리 교육도 어렵다는 점을 다시 분명히 밝혔습니다.
01:38앞서 의사협회도 정부가 먼저 변호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학생 복귀에 적극적인 메시지를 내겠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01:47따라서 유급 현실화에 선배 의사들 설득이 더해진다면 26학년도 0명 증원이 의대생들이 복귀하는데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01:57지금까지 교육부에서 YTN 이문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