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의 네 번째 정찰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군은 5번째 위성까지 올해 안에 전력화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5, 4, 3, 2, 1, Mission"
카운트다운 종료와 함께, 불꽃을 내뿜으며 힘차게 우주를 향해 솟아오릅니다.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를 실은 미 발사체 '펠컨9'이 미국 플로리다주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는 모습입니다.
우리 시각 오전 9시 48분에 발사된 정찰위성 4호기는 10시 3분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돼 목표 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습니다.
이후, 발사 2시간 39분 만인 낮 12시 27분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정찰위성 3호기 발사에 성공한 지 넉 달 만이자, 첫 위성 발사 1년 4개월 만입니다.
[정규헌/방위사업청 우주지휘통신사업부장 : 목표 궤도에 안착하였으며, 국내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하여 위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습니다.]
정찰위성 4호기는 우리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사이오) 사업'을 통해 발사한 네 번째 위성입니다.
전파를 이용한 영상레이더, SAR 위성과 전자광학·적외선센서, EO/IR 위성을 함께 운용하는 건데, 각 첫 자를 따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서로 특성이 다른 위성을 여러 궤도에서 '군집 운용'하면서, 기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목표물에 더 적합한 방식을 찾을 수 있게 됐습니다.
위성의 한반도 재방문 주기가 단축되면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군은 마지막 정찰위성인 5호기까지 올해 안에 발사를 마칠 예정으로, 425 사업이 완료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감시 전력에 더해질 경우,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면서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영상편집: 서영미
디자인: 임샛별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22145010285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군은 5번째 위성까지 올해 안에 전력화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5, 4, 3, 2, 1, Mission"
카운트다운 종료와 함께, 불꽃을 내뿜으며 힘차게 우주를 향해 솟아오릅니다.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를 실은 미 발사체 '펠컨9'이 미국 플로리다주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는 모습입니다.
우리 시각 오전 9시 48분에 발사된 정찰위성 4호기는 10시 3분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돼 목표 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습니다.
이후, 발사 2시간 39분 만인 낮 12시 27분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정찰위성 3호기 발사에 성공한 지 넉 달 만이자, 첫 위성 발사 1년 4개월 만입니다.
[정규헌/방위사업청 우주지휘통신사업부장 : 목표 궤도에 안착하였으며, 국내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하여 위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습니다.]
정찰위성 4호기는 우리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사이오) 사업'을 통해 발사한 네 번째 위성입니다.
전파를 이용한 영상레이더, SAR 위성과 전자광학·적외선센서, EO/IR 위성을 함께 운용하는 건데, 각 첫 자를 따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서로 특성이 다른 위성을 여러 궤도에서 '군집 운용'하면서, 기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목표물에 더 적합한 방식을 찾을 수 있게 됐습니다.
위성의 한반도 재방문 주기가 단축되면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군은 마지막 정찰위성인 5호기까지 올해 안에 발사를 마칠 예정으로, 425 사업이 완료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감시 전력에 더해질 경우,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면서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영상편집: 서영미
디자인: 임샛별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22145010285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우리 군의 네 번째 정찰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00:06군은 다섯 번째 위성까지 올해 안에 전력화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두 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00:15이종원 기자입니다.
00:175, 4, 3, 2, 1, Ignition
00:25카운트다운 종료와 함께 불꽃을 내뿜으며 힘차게 우주를 향해 솟아오릅니다.
00:33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를 실은 미 발사체 펠컨9이 미국 플로리다주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되는 모습입니다.
00:41우리 시각 오전 9시 48분에 발사된 정찰위성 4호기는 10시 3분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돼 목표 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했습니다.
00:52이후 발사 2시간 39분 만인 낮 12시 27분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01:01지난해 12월 정찰위성 3호기 발사에 성공한 지 넉 달 만이자 첫 위성 발사 1년 4개월 만입니다.
01:08목표 궤도에 안착하였으며 국내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하여 위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습니다.
01:15정찰위성 4호기는 우리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 사업을 통해 발사한 네 번째 위성입니다.
01:24전파를 이용한 영상 레이더 4위성과 전자광학 적외선 센서 2호 IR 위성을 함께 운용하는 건데
01:32각 첫 자를 따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01:34서로 특징이 다른 위성을 여러 궤도에서 군집 운용하면서 기상역량을 최소화하고 목표물에 더 적합한 방식을 찾을 수 있게 됐습니다.
01:45위성의 한반도 재방문 주기가 단축되면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01:53군은 마지막 정찰위성인 5호기까지 올해 안에 발사를 마칠 예정으로 4.25 사업이 완료될 경우 북한 지역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02:06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감시 전력에 더해질 경우 독자적인 우주 전력을 구축하면서 북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02:16YTN 이종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