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규와 아우성은 밤과 함께 잦아들었다. 하단부가 주저앉은 만달레이의 12층 높이 고급 아파트 ‘스카이 빌라’는 6개층만 지상에 잔해를 내밀고 있었다. 지진 직후 주민 90여명이 갇혀 있던 곳이다.
스카이 빌라 주민들에 대한 구조는 재난 구조의 ‘골든타임’(72시간)인 지난달 31일 오후 1시(현지시간)를 지나기 전에 멈춰섰다. 주민 테수산디 쨔우는 “구조 작업에 필요한 크레인 임차비가 너무 비쌌다. 사람 1명을 구하는데 무려 100만 짜트(약 70만원)이나 지불해야 한다”고 말했다. 1인당 연간 소득이 1000달러(약 147만원)를 겨우 넘는 미얀마인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이다.
1일 오전 8시 기자가 찾은 스카이 빌라에는 출입금지 테이프가 둘러쳐져 있었다. 바로 옆에 소방차가 무료한 듯 정차해 있었다. 시취(屍臭)와 태양의 열기, 끈적한 습기가 뒤섞인 공기를 배경으로 군인 2명이 지나가는 사람들을 검문했다. 거대한 지진의 충격은 완만하게 흘러가는 남국(南國)의 시간에 흡수되는 중이었다. 사람들은 마을길을 따라 이어지는 수로에서 물을 길어 몸을 씻고, 태양 전지판을 가진 이웃집에 들러 휴대전화를 충전했다. 잔해를 파헤치던 손길 역시 둔해졌다.
조성현 만달레이 한인회장은 “여진이 무서운 법인데, 다 쓰러져가는 건물에 사람들이 마구 들어간다”며 답답해 했다. 그는 1993년 292명의 사망자를 낸 서해 페리호 참사의 생존자다. 지난달 28일 강진이 덮쳤을 당시 “미얀마를 지켜달라”고 기도할 만큼 미얀마인에게 애정이 깊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448?cloc=dailymotion
스카이 빌라 주민들에 대한 구조는 재난 구조의 ‘골든타임’(72시간)인 지난달 31일 오후 1시(현지시간)를 지나기 전에 멈춰섰다. 주민 테수산디 쨔우는 “구조 작업에 필요한 크레인 임차비가 너무 비쌌다. 사람 1명을 구하는데 무려 100만 짜트(약 70만원)이나 지불해야 한다”고 말했다. 1인당 연간 소득이 1000달러(약 147만원)를 겨우 넘는 미얀마인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이다.
1일 오전 8시 기자가 찾은 스카이 빌라에는 출입금지 테이프가 둘러쳐져 있었다. 바로 옆에 소방차가 무료한 듯 정차해 있었다. 시취(屍臭)와 태양의 열기, 끈적한 습기가 뒤섞인 공기를 배경으로 군인 2명이 지나가는 사람들을 검문했다. 거대한 지진의 충격은 완만하게 흘러가는 남국(南國)의 시간에 흡수되는 중이었다. 사람들은 마을길을 따라 이어지는 수로에서 물을 길어 몸을 씻고, 태양 전지판을 가진 이웃집에 들러 휴대전화를 충전했다. 잔해를 파헤치던 손길 역시 둔해졌다.
조성현 만달레이 한인회장은 “여진이 무서운 법인데, 다 쓰러져가는 건물에 사람들이 마구 들어간다”며 답답해 했다. 그는 1993년 292명의 사망자를 낸 서해 페리호 참사의 생존자다. 지난달 28일 강진이 덮쳤을 당시 “미얀마를 지켜달라”고 기도할 만큼 미얀마인에게 애정이 깊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44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