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오후 7시40분쯤, 신동호(42) 경북북부제3교도소 교도관 앞에 놓인 것은 6000L짜리 유류창고를 덮치려 드는 검붉은 산불이었다. 동서남북에서 불어치는 바람을 타고 불씨가 공기 중에 흩날렸고, 나무와 잔디에 붙은 산불이 유류창고를 향해 길을 내고 있었다. 창고에는 제3교도소 난방에 사용되는 등유가 담겨 있었다. 창고는 교도소 벽 바깥으로 열 걸음 떨어진 곳에 있었지만, 걸어서 3분이면 100여명이 생활하는 여자 수용동에 도착한다. “여기가 터지면 연쇄적으로 폭발이 일어날 것이라 생각했다”고 신 교도관은 회상했다.
그를 비롯한 20여명의 교도관들은 소화기와 소화전 호스를 손에 들고 창고를 둘러 감쌌다. 닿는 모든 곳에 물과 소화 분말을 뿌렸고, 잔불은 발로 밟아 껐다. 코와 입을 감싸려고 가져간 물 묻은 수건도 산불 진화에 썼다. 물과 분말이 역바람을 타고 몸을 뒤덮은 지 한 시간여 만에 창고 주변의 불을 끌 수 있었다. 그날 창고 앞에서 동료들과 나눈 말들은 이렇다고 한다. “오른쪽 위험하니 조심해라.” “저쪽에 불이 번진다.” “교도소는 꼭 지켜야한다.” 경북북부교도소엔 이런 유류창고가 5개로, 총 3만1600L의 기름을 보관할 수 있다.
━
청송 1200명 교도관…“교도소, 목숨걸고 지켰다”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은 청송군에 위치한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4개 교도소를 감싼 광덕산을 타고 불길은 순식간에 번져 교도소 주벽을 감쌌다. 1200여명 직원들이 총출동해 수용자들을 대피시켰고, 산 중턱에 위치해 피해가 컸던 경북북부제2교도소 수용자 500여명은 인근 대구교도소로 이송을 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753?cloc=dailymotion
그를 비롯한 20여명의 교도관들은 소화기와 소화전 호스를 손에 들고 창고를 둘러 감쌌다. 닿는 모든 곳에 물과 소화 분말을 뿌렸고, 잔불은 발로 밟아 껐다. 코와 입을 감싸려고 가져간 물 묻은 수건도 산불 진화에 썼다. 물과 분말이 역바람을 타고 몸을 뒤덮은 지 한 시간여 만에 창고 주변의 불을 끌 수 있었다. 그날 창고 앞에서 동료들과 나눈 말들은 이렇다고 한다. “오른쪽 위험하니 조심해라.” “저쪽에 불이 번진다.” “교도소는 꼭 지켜야한다.” 경북북부교도소엔 이런 유류창고가 5개로, 총 3만1600L의 기름을 보관할 수 있다.
━
청송 1200명 교도관…“교도소, 목숨걸고 지켰다”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은 청송군에 위치한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4개 교도소를 감싼 광덕산을 타고 불길은 순식간에 번져 교도소 주벽을 감쌌다. 1200여명 직원들이 총출동해 수용자들을 대피시켰고, 산 중턱에 위치해 피해가 컸던 경북북부제2교도소 수용자 500여명은 인근 대구교도소로 이송을 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753?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