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저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를 앞세워 대외 원조를 지휘하는 국제개발처의 폐쇄를 밀어붙이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법원이 일단 제동을 걸긴 했지만, 트럼프 정부가 모든 해외 원조를 동결한 데 이어 국제개발처까지 거의 마비 상태에 빠지면서 전 세계 구호현장에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1961년 케네디 정부가 설립한 미국 국제개발처는 한국과도 깊은 인연이 있습니다.

국제개발처가 제공한 차관 형식의 대규모 원조는 본격적인 경제 개발의 밑거름이 됐습니다.

서울 강남 한복판엔 아예 그 이름을 딴 아파트 단지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인도주의적 원조를 통한 외교전의 첨병이었던 국제개발처가 64년 만에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함께 고위 간부들이 무더기로 대기발령 지시를 받은 데 이어 워싱턴에 있는 본부 건물까지 봉쇄됐습니다.

정부효율부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는 국제개발처가 범죄 조직이고, 벌레들로 가득 차 있다는 극단적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옹호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3일) : (기자: 과거 이방카-트럼프의 딸-도 국제개발처를 활용했습니다.) 저는 그 개념은 좋아하지만, 그들은 급진적인 좌파 광인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모든 해외 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일시적이라도 미국의 해외 원조가 완전히 중단되는 건 213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공적개발원조만 연간 100조 원에 육박하는 미국의 지원이 끊기면서 당장 전 세계 구호현장엔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쟁터에선 지뢰 제거 작업이, 아프리카에선 에이즈 검사나 말라리아 예방 사업이 중단됐습니다.

[도쿤 아데데지/남아프리카공화국 의사 : 트럼프가 생각하는 건 투자한 돈뿐입니다. 그 작은 일로 미국에 누적되는 이익이나 호의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미국 민주당은 의회 동의 없이 국제개발처를 폐쇄하는 건 위헌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제이미 라스킨 /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 머스크가 국제개발처를 만들지 않은 것처럼, 파괴할 권한도 없습니다. 누가 그를 막을까요? 우리가 막을 겁니다.]

전체 예산의 1/100도 차지하지 않는 국제개발처의 폐쇄가 결국, 미국의 영향력을 급격히 약화할 것... (중략)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210013158304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