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시간 전
‘관세 맨(Tariff Ma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 철강에 관세 25% 부과 방침을 10일(현지시간) 발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국내 철강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한국 철강 기업들의 미국 수출품에 관세가 추가되면 현지에서 경쟁하는 미국·일본 철강 대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과 생산시설 투자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미국프로풋볼(NFL) 챔피언 결정전 ‘슈퍼볼’이 열리는 뉴올리언스로 향하는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그는 “알루미늄에도 똑같이 적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1기 행정부에서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 수입산 철강에 25% 보편관세를 부과했다. 자동차·무기·선박 등 제조에 필수인 미국 철강 산업이 외국 기업들에 잠식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당시 한국은 협상을 통해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인 263만t까지만 수출하되 무관세를 적용받기로 합의했고, 일본·영국·유럽연합(EU) 등은 쿼터까지는 무관세를, 그 이상 수출분에는 25% 관세를 부과받았다. 결과적으로 쿼터제 이후, 한국의 연간 대미 철강 수출량은 100만t가량 줄었다.  
 

 ━
  미국 철강, ‘트럼프 관세’로 생명 연장하나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철강 시장은 연간 약 1억t 규모다. 이 중 8000만t이 현지에서 생산, 나머지 20%는 수입에 그런데도 트럼프 정부가 1기 때에 이어 다시 관세 카드를 꺼낸 건 미국산 철강 제품 보호 목적이 크다. 뉴코, US스틸 등 미국 철강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이 크고, 기존 화석연료 고로보다 탄소 배출이 적은 데다 운영 효율성이 큰 전기로(電氣...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927?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