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지난겨울, 천 마리 넘게 목숨을 잃은 1급 멸종위기종 산양.

YTN 데이터랩은 겨울철 산양의 행동권을 토대로, 울타리가 지친 산양에 '최후의 일격'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환경부도 산양 떼죽음의 배경에 울타리가 있다는 걸 인정하고, 설악산에 올겨울 산양이 드나들 수 있는 폭 4m짜리 통로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죽음을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통로 30곳의 총 길이가 120m로, 설악산 국립공원을 둘러싼 전체 울타리 56km의 0.2%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철 / 강원대 산림환경과학대학 교수 : (산양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울타리가 나왔어요. 그럼 걸어가겠죠, 한참. 푹푹 (눈에) 빠지면서. 한참을 걸어가서 구멍(부분개방 통로)을 뚫고 나갔어요. 뚫고 나갔는데 뚫고 나간 지점 그 앞에 먹이가 잔뜩 있으면 살 수가 있지만 그 바깥에 먹이가 없다면 거기서 또…]

죽은 산양이 발견된 지도와 겹쳐보면, 아예 통로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이 많습니다.

그런데도 울타리를 전면 철거하지 않겠다는 정부, 내세우는 첫 번째 이유는 방역입니다.

[김정주 / 농림축산식품부 구제방역과 과장 : 2018년도 중국에서 ASF(아프리카돼지열병)가 발생해서 약 1억5천만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그로 인해서 (돼지) 가격이 60% 정도 뛰었던 시점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인근에 있는 태국이라든가 필리핀에서는 (ASF가) 다발하고 있고….]

그렇다면 울타리가 감염을 제대로 막는 역할을 하고 있을까.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북쪽부터 무섭게 확산하던 2019년, 울타리를 설치한 뒤에도 야생 멧돼지 감염은 남쪽으로 계속 내려왔고 올해는 경북에 있는 돼지 농가까지 피해를 봤습니다.

산양이 떼죽음 당한 설악산 일대는 최근 3년 동안 야생 멧돼지나, 농가의 감염 사례가 없었습니다.

설악산 국립공원 주변에는 울타리로 보호해야 할 돼지 농가 자체가 적습니다.

산양 통로를 연 지점 반경 10km 이내에 3곳, 열지 않은 지점 반경 10km 내에 2곳뿐입니다.

돼지 농가들은 국립공원을 넓게 두르는 광역 울타리보다 농가 중심의 방역을 더 원했다고 말합니다.

[최재혁 / 대한한돈협회 정책기획부장 : 우리가 전체 광역 울타리를 치는데 예산이 천8백억 원 이렇게 들었잖아요? (농장 하나를) 철판으로 해서 완전히 둘러칠 수 있는 게 2천5백만 원에서 3천만 원 정도 든다고 하더라고요. (전국에) 5...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41010084832055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