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尹 "북한 도발 맞서 자유민주주의·국민의 삶 지킬 것" / YTN

  • 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취임 이후 첫 참석인데, 최근 남북 간의 긴장 고조와 북러조약 체결 등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위기의 해법으로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직접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6.25 전쟁 참전용사와 유가족 여러분, 주한 외교사절을 비롯한 내외 귀빈 여러분. 고귀한 생명을 바쳐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켜주신 호국영령과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영면을 기원합니다. 구국의 일념으로 포화 속으로 뛰어드신참전용사 여러분께 경의를 표하며 오랜 세월 아픔을 안고 살아오신유가족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74년 전 오늘, 1950년 6월 25일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가슴 아픈한 페이지로 기록돼 있습니다.

모두가 잠든 새벽,북한 공산군의 기습 남침으로3일 만에 수도 서울이 함락됐고 온 국토가 폐허가 됐습니다. 인명피해는 더욱 처참했습니다. 3년간 이어진 전쟁으로 우리 국군 14만 명과 미군을 비롯한 유엔군 4만 명이 전사했고 사망, 학살, 납치, 실종된 우리 국민은100만 명에 달했습니다. 북한 정권이 적화통일의 야욕에 사로잡혀일으킨 돌이킬 수 없는 참극입니다. 오늘 6.25 전쟁 74주년 정부 행사를 여는 이곳 대구는 전쟁 초기 33일 동안 임시수도로서대한민국을 지탱했던 곳입니다. 이후 부산까지 수도를 옮겨야 했고 국토의 90%를 빼앗기기도 했지만 우리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달려와 준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했습니다. 이곳 낙동강 방어선에 대한민국의 자유와 미래가 달려 있었습니다. 포항, 칠곡 다부동, 안강, 영천을 비롯하여대구와 경북 곳곳에서 치열하게 싸웠고 값진 승리를 거뒀습니다.이 결정적인 승리는 대한민국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고다시 일어서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키며우리는 전세를 역전시켰고 이 땅과 하늘 그리고 바다에서공산군을 몰아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으로 포화가 멈췄을 때 우리에게 남은 것은 모든 것이 사라진 절망의 국토뿐이었습니다.그때도 위대한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결코 주저앉지 않았습니다. 피로써 자유 대한민국을 지킨호국영령들의 뜻을 이어받아 눈부신 산업화의 기적을 이루어냈습니다.

전쟁 후 67달러에 불과했던 국민소득...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625104343146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