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보도 뉴스프리즘] AI, '전기에 물도 먹는 하마'…기후변화 대응의 적?

  • 16일 전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AI, '전기에 물도 먹는 하마'…기후변화 대응의 적?

[오프닝: 이광빈 기자]

안녕하십니까? 이광빈입니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

이번 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 함께 보시겠습니다.

[영상구성]

[이광빈 기자]

인공지능, AI 서비스는 구동에 막대한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해 소위 '전기 먹는 하마'라고도 불립니다. AI 시대가 활짝 열리면서 전력도 그만큼 필요하게 됐는데요. 당장에 화석연료 발전의 의존도가 다시 올라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AI 시대가 기후변화 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까지 나오는데요.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데이터센터도 에너지 효율화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AI 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전력 문제와 기후변화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임혜준 기자입니다

['전기 먹는 하마' AI…효율 높이기 경쟁 / 임혜준 기자]

[기자]

구글 검색에 평균 0.3Wh의 전력이 쓰일 때 생성형 AI챗 GPT는 그보다 10배에 가까운 2.9Wh이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개의 AI 모델 훈련에 필요한 전기는 일반 가정 100가구의 연간 전기 사용량을 초과한다는 추산도 있습니다.

고성능 AI 반도체 구동을 위해선 일반 반도체보다 훨씬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겁니다. 생성형 AI가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AI 개발과 유지에 필수인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해선 더 막대한 양의 전력이 소비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 IEA는 오는 2026년 데이터전력 사용량이 최대 1,050TWh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 2022년 전력 사용량이 460Twh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4년 만에 두 배 이상 뛰는 셈입니다.

휘몰아치는 AI 열풍에 전력 소비량을 메울 에너지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선 안정적인 발전이 가능한 데다 설비 확충 기간이 대체 에너지보다 빠른 천연 가스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최근 해외보고서는 2030년 안으로 천연가스가 데이터센터 신규 전력 수요 중 절반 이상을 해결할 것이란 관측도 내놨습니다.

그러나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아지는 셈이어서 가뜩이나 전 세계적으로 차질을 빚는 탄소 감축 계획에 역행한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지금 당장은 편리할 뿐이지 (중략) 적어도 첨단 산업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풍력이나 태양광 또는 원전과 같은 무탄소 에너지로 가야 에너지 흐름에도 맞다고…"

AI 산업에 소비되는 과도한 전력이 결국 탈탄소 시대 결정적 걸림돌로 작용하는 셈입니다.

이를 의식한 빅테크와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앞다퉈 '저전력' 즉, 반도체칩 효율성 높이기에 나섰습니다.

삼성전자는 네이버와 함께 추론용 AI반도체, '마하1'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마하1'은 GPU와 메모리반도체 사이 병목현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전력 효율을 끌어올린 것이 특징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 HBM시장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 SK하이닉스는 전력 효율성을 30%가량 끌어올린 차세대 제품 양산을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전력 소모를 줄인다는 것이 어떻게 보면 지금 현재 가장 큰 화두다. 지속가능한 AI시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저전력의 AI칩이 필요하다…"

온디바이스 시장 등 미래 수요에 '고효율' '저전력'을 향한 기업들의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AI #반도체 #저전력 #데이터센터

[이광빈 기자]

AI 붐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를 가동할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거대 자본력을 앞세워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원에 투자하고 있는 건데요.

미래에 전력 수요가 폭증할 것을 대비해 일부 국가들은 탈탄소 에너지 계획을 재정비하는 등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강재은 기자입니다.

[글로벌 빅테크들 'AI 가동할 전력을 확보하라' 비상 / 강재은 기자]

[기자]

현지시간 14일 구글이 공개한 AI 비서 프로젝트 아스트라.

안경이 어디 있는지 물어보자 위치를 기억해 찾아줍니다.

"제 안경 어디서 봤는지 기억하나요?" "그럼요. 안경은 책상 위 빨간 사과 옆에 있었어요."

인간보다 더 인간 같은 생성형 AI를 개발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전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2026년까지 미국 AI 산업의 전력 소비량이 작년 대비 최소 10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합니다.

"전력 공급이 필요하고 변압기가 있어야 하는 AI와 전기차가 동시에 성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장비와 전력 생산에 대한 엄청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에 대비해 친환경 에너지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친환경 전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간 탄소세 등 통상장벽에 발목이 잡힐 수도 있습니다.

대규모 AI 언어 모델을 개발 중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달 초 재생에너지 개발에 100억 달러, 우리 돈 14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자율주행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테슬라도 인도에 잉여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파워월' 생산 공장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태양광이나 풍력과 달리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원자력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 AI의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소형 모듈 원전 회사인 오클로에 투자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핵융합 에너지 스타트업 헬리온 에너지와 계약을 체결해 2028년부터 매년 최소 50MW(메가와트)의 전기를 공급받기로 했습니다.

주요국들은 AI로 인한 전력 수요 폭증에 대비하고, 관련 기업에 전력 공급을 지원하는 정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데이터센터 규모로 세계 3위에 오른 일본은 내년 3월까지 2040년 탈탄소 에너지 기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