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문제행동 원인 분석해 대응…학생들 '마음건강' 돌본다

[앵커]

지난해 교육부는 교사가 학생을 적극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시를 내놨죠.

하지만 학생들을 지도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서울시교육청이 문제행동의 원인에 집중해보자는 방법을 제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안채린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반복적으로 수업을 방해하거나 주변에 폭언을 하는 학생을 지도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교사들에게 물었더니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도하며 어려움을 겪었단 비율은 90%에 육박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이 이런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긍정적 행동지원, PBS라는 새 지도방식을 제시했습니다.

"학생의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행동의 동기를 찾고, 행동중재 계획을 수립하여…더 나은 행동을 가르치는 과정입니다."

특수학급에만 적용되던 방식인데 지난해 일반학교 3곳에서 시범운영을 거쳤고 올해 11곳으로 확대됩니다.

"문제 행동이 일어나기 전에 뭔 일 있었나에 더 집중하게 되고 그 앞에 아이의 적절한 행동에 대해서 더 강화…아이들도 관계가 개선되면서 점차 행동이 나아지는…"

교육청은 학교 안팎에 긍정적 행동지원 전문가를 양성해 교사가 학생지도방법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계획입니다.

문제 행동이 개선되지 않으면 필요에 따라 병원과 학생을 연계해주고 1인당 100만원 상당의 치료비도 지원합니다.

이에 앞서 교육부도 마음건강 관련 대책을 내놨습니다.

"학생의 마음건강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겠습니다. 학교급별 정신건강 위기 선별 검사도구, 마음이지(EASY)검사를 개발해 적용하겠습니다."

교원단체들은 당국의 조치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더 적극적인 인력과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 (chaerin163@yna.co.kr)

#교육 #학생 #마음건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