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연봉 3억 근무하더니…“윤석열 밑서 임기 마쳐 치욕”

  • 9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3년 8월 2일 (수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서정욱 변호사, 설주완 민주당 법률지원단 소속 변호사,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 최병묵 정치평론가

[김종석 앵커]
보신 그대로입니다. 오늘 뉴스 TOP10은 바로 여기부터입니다. 남은 수명에 비례해서 투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민주당의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이 논란의 발언이 지금 여름 휴가철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유감 표명을 하긴 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새로운 설화 하나가 또 불거졌습니다. 최병묵 위원님. 제가 한번 먼저 읽어볼게요. 어제 인천에서 김은경 위원장이 간담회를 연 모양인데. 여기 호칭이 없어요. 직함도 없고. ‘윤석열 밑에서 통치 받는 게 창피했다.’ ‘문재인 대통령 때.’ 여기서는 대통령이라는 직함이 있고. ‘금감원 부위원장으로 임명받았는데.’ 다시 한번 ‘윤석열 밑에서 임기 마치는 게 엄청 치욕스러웠다.’ 대통령 호칭이 없네요?

[최병묵 정치평론가]
두 가지 점이 문제죠? 대통령에 대해서 호칭을 붙이지 않았다. 그러면 대통령으로 인정하기 싫다, 이런 심리가 깔려있는 것이고. 그다음에 본인이 윤석열 정부에서 그 금감원 부원장으로 임기를 마친 것은 제가 알기로는 그 대개의 경우 금감원 부원장은 원장이 바뀌면 일괄 사표를 냅니다. 그런데 끝까지 버틴 사람이잖아요. 그 김은경 전 부원장은 당시 끝까지 버티고 본인의 선택에 의해서 그 자리에 계속 있었던 거예요. 그러면 치욕도 본인이 선택한 것 아닌가요? 그 이유야 금감원 부원장으로 있어가면서 연봉 이런 것 때문인지 무엇인지는 저희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어찌 되었든 간에 본인이 선택을 그렇게 해놓고서.

그리고 윤석열 정부에서는 아마 나가기를 원했을 거예요. 저 자리에서 사실은 후임자 내정해놓고 언론 보도까지 나왔어요. 그랬는데도 불구하고 김은경 전 부원장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사람 결국 저 자리에 못 갔거든요. 그런 것처럼 본인이 선택을 해놓고서 그것이 치욕이라고 이야기하면 결국 본인이 치욕을 선택했다, 이런 이야기가 되는 것이죠. 그런 것을 보면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가 너무 많다. 이것을 포함해서 노인 폄하성 발언뿐만 아니고 그전에 혁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와서 지금까지 설화가 지나치게 많아서. 이쯤 되면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이제 혁신을 위한다, 이런 것보다는 민주당에 짐이 되고 있다. 저는 이렇게 판단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도혜원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