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명단 확보?…與 “유가족에 대못” 발끈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20~19:00)
■ 방송일 : 2022년 11월 8일 (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구자룡 변호사,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최병묵 정치평론가

[김종석 앵커]
오늘 저 이야기로 하루 종일 여당에서는 시끄러웠어요. 왜냐하면 ‘슬픔을 정쟁으로 활용하느냐.’ 혹은 ‘추모를 빙자한 것 아니냐.’ 이 이야기. 희생자 전체 명단과 사진, 프로필, 애틋한 사연이 공개되지 않고 있으니까 야당이 뭘 하고 있느냐는 질책이 일부에서 있었던 모양이죠? 그런데 이게, 이 문자 메시지가 야당의 현직 의원과 야당의 싱크탱크라는 민주연구원의 부원장 간에 있었던 문자메시지 때문에 조금 파장이 있었던 것 같아요.

[최병묵 정치평론가]
그러니까 실질적으로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문진석 의원 사이에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는 사실 우리가 정확하게 알기는 어려워요. 그러나 이제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보낸 저 메시지에 보면 ‘아, 이 안타까운 사연들 이런 것들을 언론에 조금 보도를 하도록 하고 자기들이 무언가 추모 공간을 만들어서 이 문제를 가지고 정치적으로 활용하자는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 하는 의심은 충분히 할 수가 있는 대목이에요.

그게 실행이 되었는지 아니면 문진석 의원의 말처럼 이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절한 것인지 이건 명확하지가 않지만, 적어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걸 문진석 의원한테, 현역 의원한테 제기한 것까지는 우리가 인정을 해야 된단 말이죠? 그러면 이제 객관적으로 본다면 지금 민주당이 추모 분위기 이어가고 그다음에 다른 여러 가지 수습에 협조한다. 이런 이야기를 했으면서 실질적으로 뒤로는 이런저런 정치적으로 활용할 궁리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의심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 된다는 것이죠. 저 문자는 그걸 가리킨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게 실제 실행이 안 되었으니까 아무것도 아닙니다. 이렇게 이야기할 건 아니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희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