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외교위 의원단이 일주일 동안 방한한 가운데, YTN이 미 하원 동아태 소위 민주당 간사인 아미 베라 의원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베라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북핵 확장억제 기조는 이어질 거라 강조했고, 우리나라 대선 뒤엔 대북정책 청문회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 하원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민주당 간사이자,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친한파로 분류되는 아미 베라 의원이 YTN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베라 의원은 이번 방한의 주요 목적으로 북핵 확장억제 의지를 담은 한미 워싱턴 선언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초당적으로 북한 비핵화 기조를 유지해나가겠다는 겁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동아태 민주 간사 : 워싱턴 선언, 핵 억제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확고합니다. 미 의회에서 양당 대표단들이 모두 방한한 이유는,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그런 의지가 강하다는 걸 거듭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까지 북한을 '핵 무력 국가(nuclear power)'로 지칭한 점에 대한 질의엔,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건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미가 추구해야 할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고, 미국에서도 어느 당에서 집권하건 그런 전례는 변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민주당 간사 : 우리가 추구해야 할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입니다. 역사적으로 민주당이든 공화당이든 1기 트럼프 행정부 때든 우리의 정책은 핵무기 축소로 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와 통상 분야를 함께 협상하려는 시도에 대해서 베라 의원은, 미 정부가 분리해 대응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주한미군을 유지하는 건 미국에도 중요한 만큼 일정 규모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겠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민주당 간사 :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주한미군을 감축하겠다고 했을 때 의회 차원에서 나서 초당적으로 반대했습니다. 일정 규모 이하로 주한미군을 축소할 수 없고,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고요.]
계엄 직후 비판 성명을 내기도 했던 베라 의원은, 이후 탄핵까지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신뢰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선이 끝나고 나면, 미 하원 차원에서 별도 청문... (중략)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1905164703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베라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북핵 확장억제 기조는 이어질 거라 강조했고, 우리나라 대선 뒤엔 대북정책 청문회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 하원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민주당 간사이자,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친한파로 분류되는 아미 베라 의원이 YTN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베라 의원은 이번 방한의 주요 목적으로 북핵 확장억제 의지를 담은 한미 워싱턴 선언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초당적으로 북한 비핵화 기조를 유지해나가겠다는 겁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동아태 민주 간사 : 워싱턴 선언, 핵 억제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확고합니다. 미 의회에서 양당 대표단들이 모두 방한한 이유는,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그런 의지가 강하다는 걸 거듭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까지 북한을 '핵 무력 국가(nuclear power)'로 지칭한 점에 대한 질의엔,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건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미가 추구해야 할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고, 미국에서도 어느 당에서 집권하건 그런 전례는 변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민주당 간사 : 우리가 추구해야 할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입니다. 역사적으로 민주당이든 공화당이든 1기 트럼프 행정부 때든 우리의 정책은 핵무기 축소로 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와 통상 분야를 함께 협상하려는 시도에 대해서 베라 의원은, 미 정부가 분리해 대응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주한미군을 유지하는 건 미국에도 중요한 만큼 일정 규모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겠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아미 베라 / 미 하원 민주당 간사 :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주한미군을 감축하겠다고 했을 때 의회 차원에서 나서 초당적으로 반대했습니다. 일정 규모 이하로 주한미군을 축소할 수 없고,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고요.]
계엄 직후 비판 성명을 내기도 했던 베라 의원은, 이후 탄핵까지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신뢰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선이 끝나고 나면, 미 하원 차원에서 별도 청문... (중략)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1905164703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 하원 외교비 의원단이 일주일 동안 방한한 가운데 YTN이 미 하원 동아태 소위 민주당 간사인 아미베라 의원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00:11베라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북핵 확장 억제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고, 우리나라 대선 뒤에는 대북정책 청문회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00:21박희재 기자입니다.
00:22미국 하원 동아시아 태평양 소위원회 민주당 간사이자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친한파로 분류되는 아미 베라 의원이 YTN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00:36베라 의원은 이번 방한의 주요 목적으로 북핵 확장 억제 의지를 담은 한미 워싱턴 선언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말했습니다.
00:44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초당적으로 북한 비핵화 기조를 유지해 나가겠다는 겁니다.
00:52트럼프 대통령이 최근까지 북한을 핵 무력 국가로 지칭한 점에 대한 질의에는 핵 부위국으로 인정하는 건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01:17한미가 추구해야 할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고 미국에서도 어느 당에서 집권하건 그런 전례는 변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01:27트럼프 대통령이 안보와 통상 분야를 함께 협상하려는 시도에 대해서 베라 의원은 미 정부가 불리해 대응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01:53특히 주한미군을 유지하는 건 미국에도 중요한 만큼 일정 규모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겠다고도 강조했습니다.
02:03개혐 직후 비판 성명을 내기도 했던 베라 의원은 이후 탄핵까지 과정을 지켜보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신뢰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02:29그러면서 대선이 끝나고 나면 미 하원 차원에서 별도 청문회를 열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도 따져붙겠다고 강조했습니다.
02:38YTN 박희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