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美서 100달러 룰루레몬, 원가는 5달러" 中 폭로전
'美 브랜드, 中→본토 온다면?' 영상 확산
트럼프, 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자동차 분야의 관세에 대해서 통제 신용이 유예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00:05흥미로운 영상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00:11미국에서 이 관세 전쟁 때문에 예를 들어 나이키, 테슬라, 아이폰 등이 미국에서 생산된다면
00:23과연 어떤 모습일까와 관련된 상상력 발언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00:30그런가 하면 중국에서는 미국의 어떤 명품, 원가들을 공개하면서
00:39일종의 조롱을 하고 있는 모습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함께 보시죠.
00:47미국 관세 조롱하는 중국, 약 5천만 원 H사 명품 백, 190만 원에 제조 가능하다.
00:54우리한테 사라, 이렇게 올리고.
00:58스포츠 의류 전문 인플루언서, 중국의 여사, 약 14만 원 유명 요가복 브랜드 L사,
01:04공장가로 만 원이다. 관세 조롱 여론을 확대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01:10명품 중국에서 사라.
01:11그러자 해당 명품사들의 반박 입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01:17명품 백은 100% 프랑스에서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되고 있다.
01:21중국에서 만들지 않는다, 우리라는 사실관계를 부인했습니다.
01:25유명 요가복 브랜드 L사.
01:28중국에서 생산하는 건 전체 완제품의 3%, 정품은 공식 매장에서만 구매 가능하다.
01:32그러니까 앞서 양태중 변호사님, 중국에서 올렸다는 자기들한테 사라, 싸다, 이런 거는 짝퉁이군요.
01:42아무래도 그럴 가능성이 높죠.
01:44중국의 짝퉁 시장으로 유명한 곳도 여러 군데가 있고.
01:49그런데 결국 그런 틱톡을 통한 메시지가 나오는 게
01:52결국 고관세, 관세 전쟁으로 인해서 지금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에
01:58그걸 비판하기 위한 논조로 보시면 될 것 같고요.
02:01결국 지금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분쟁, 관세 다툼에서
02:08어떻게 현명하게 대응하냐가 중요한 문제인데
02:10결국 미국에만 치우친, 미국이 가장 중요한 국가이고 우방국가이긴 하지만
02:17그에 못지않게 중국이나 다른 나라와의 교류와 확대를 통해서
02:22리스크를 굉장히 낮추고 무역도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02:28그런가 하면 미국의 관세 때문에 해외에서 제조해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상품의 가격이 올라갈 것이다.
02:39결과적으로 이런 얘기들, 부작용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02:42그러자 미국에서 나이키, 테슬라, 아이폰 등이 미국에서 제조된다면
02:48이라는 AI 영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함께 보시죠.
02:53현재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는 나이키, 테슬라, 아이폰 등 미국 주요 브랜드들이
02:58본토 현지로 옮겨졌을 상황을 AI를 통해 가상으로 제작되어 SNS에 퍼진 영상인데요.
03:05이렇게 아이폰의 반도체로 조립하거나 나이키의 티를 미국인 제조 노동자들이 만드는 영상인데
03:15AI가 왜 저렇게 만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03:18다들 이게 좀 비만한 노동자들이 굉장히 힘겹게 만들고 있는 듯한 영상도 나오고 있는데요.
03:26이렇게 말이죠. 항상 생경합니다.
03:28미국 노동자들이 미국 내에서 생산 측면도 있습니다만
03:31주요 생산 공정은 다 해외 생산 공정 기지에서 만들어서
03:36완제품을 다시 미국으로, 미국산 제품이라 하더라도 들어오는 구조 아니겠습니까?
03:40그렇죠. 예를 들어서 애플 같은 경우는 미국에서 생산량은 거의 없습니다.
03:45전 세계 생산량의 90%가 중국에서 나옵니다.
03:50팀쿡 애플 회장이 이런 이야기를 했죠.
03:53미국과 중국의 산업 환경 자체가 완전히 다르다는 겁니다.
03:56애플에 관련 중요한 기기를 만드는 엔지니어들을 미국 내에서 고르려면
04:02한 회의실도 채울 수 없다.
04:03그러나 중국에서는 수십 개의 축구장을 채울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있다.
04:09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고급 인력이 미국에 일단 부족합니다.
04:13트럼프가 관세 전쟁을 벌인 이유는 결국은 공장들이 미국으로 돌아와서
04:17미국 일자리를 만들게 하겠다는 건데
04:19지금 팀쿡 애플 CEO가 말한 것처럼
04:24중국은요. 하나의 애플 공장이 들어가면 인근 한 도시 자체가 애플 도시가 됩니다.
04:32그래서 연간 산업이 한금 밀집돼서 형성이 되는 겁니다.
04:36그런데 예를 들어서 보스톤 인구가 50만 명입니다.
04:39그래서 보스톤 애플 공장에 들어간다?
04:41보스톤 인구 50만 명 전부 애플만 만들 수 있느냐?
04:44이런 질문이 미국에서도 나오는 거예요.
04:45할 수가 없는 겁니다.
04:46미국 이런 나라가 이미 저런 단순 제조업을 할 수 있는 나라가 이미 아닌 나라가 되어버렸습니다.
04:52그리고 설사 앞으로 미국으로 공장이 돌아온다 하더라도 AI, 각종 로봇 때문에
04:58그렇게 많은 기술 엔지니어들이 필요하지 않는 기술자들이 또는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은 그런 상황이거든요.
05:04그래서 트럼프가 저 부분에 관해서만은 1990년대식 사고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05:11시대가 굉장히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게 일자리를 뺏긴 건 맞습니다.
05:15한국에게 일자리를 뺏긴 건 맞습니다.
05:17그러나 미국으로 그 공장이 돌아간다면 다시 일자리를 과거처럼 창출을 낼 수 있을 것인가?
05:22미국의 환경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이죠.
05:24그렇기 때문에 트럼프의 오산이다 이런 지적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05:29관세에 관련된 이야기까지 나눠봤습니다.
05:31저희들은 60초 광고 보고 돌아오겠습니다.
05:34잠시 후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