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상호관세의 최우선협상국으로 지목된 5개 나라는 미국과 강력한 동맹 관계에 있거나 우방국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다음 주 우리나라와 협상을 예고한 가운데, 먼저 협상할수록 유리하다는 게 미국의 입장인데 사정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신호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은 75개 나라 이상이 상호관세 협상을 요청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 미국 재무부 장관(현지시간 9일) : 우리는 선의를 가지고 협상하러 찾아오겠다는 동맹국들의 반응에 많이 놀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과 영국, 호주, 인도 5개 나라는 가장 빠른 협상 번호표를 받게 됐습니다.

미국과 강력한 안보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일단 일본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는데,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어제) : '빠르면 좋다, 정리만 되면 좋다'가 아닙니다. 시간이 걸린다면 걸려야 하고, 가장 좋은 결론을 얻기 위해 당연히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합니다.]

상호관세 협상을 지휘하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먼저 협상을 매듭짓는 나라가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될 거라며 적극성을 주문했습니다.

최우선협상국으로 지목된 5개 나라 가운데 영국과 호주는 상호관세율이 10%로 제일 낮습니다.

영국은 관세율이 EU 국가들의 절반이라 선방했다는 분위기가 있고, 호주도 다음 달 총선이 끝나면 대미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는 26%로 높은 상호관세율을 맞았는데 지난 2월 모디 총리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가을까지 무역 협정을 맺기로 했습니다.

다음 주 미국에서 실무 협상을 시작하는 우리나라는 무역 외에도 안보와 개발 사업까지 테이블에 올라 있어 계산이 복잡합니다.

미국이 한국 기업의 참여를 원하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막대한 비용 부담과 실패 위험도 뒤따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관세 협상에 연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현지시간 9일) : 무역과는 관계가 없지만, (방위비 문제도) 협상의 일부로 하는 게 합리적입니다. 국가별로 하나의 패키지로 묶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여기에 6월 초 대통령 선거도 예정돼 있어서 협상의 속도를 빠르게 가져가는 것이 과연 유리한 것인지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 (중략)

YTN 신호 (sino@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6011131487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상호 관세의 최우선 협상국으로 지목된 5개 국가는 미국과 강력한 동맹관계에 있거나 우방국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00:09다음 주 우리나라와 협상을 예고한 가운데 먼저 협상할수록 유리하다는 게 미국의 입장이지만 사정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00:17신우 기자입니다.
00:21미국은 75개 나라 이상이 상호 관세 협상을 요청했다고 강조했습니다.
00:30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과 영국, 호주, 인도 5개 나라는 가장 빠른 협상 번호표를 받게 됐습니다.
00:46미국과 강력한 안보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00:52일단 일본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는데
01:00상호 관세 협상을 지휘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01:13먼저 협상을 맺는 나라가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될 거라며 적극성을 주문했습니다.
01:20최우선 협상국으로 지목된 5개 나라 가운데
01:23영국과 호주는 상호 관세율이 10%로 제일 낮습니다.
01:30영국은 관세율이 EU 국가들의 절반이라 선방했다는 분위기가 있고
01:35호주도 다음 달 총선이 끝나면 대미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01:41인도는 26%로 높은 상호 관세율을 맞았는데
01:46지난 2월 모디 총리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01:51가을까지 무역 협정을 맺기로 했습니다.
01:55다음 주 미국에서 실무 협상을 시작하는 우리나라는
01:59무역 외에도 안보와 개발 사업까지 테이블에 올라 있어
02:04계산이 복잡합니다.
02:06미국이 한국 기업에 참여를 원하는
02:09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02:11막대한 비용 부담과 실패 위험도 뒤따릅니다.
02:16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02:19관세 협상에 연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02:22우리나라는 여기에 6월 초 대통령 선거도 예정돼 있어서
02:36협상의 속도를 빠르게 가져가는 것이 과연 유리한 것인지에 대한
02:42우려도 있습니다.
02:44YTN 신호입니다.
02:45좋습니다.
02:46감사합니다.
02:47strains jam
02:48Engineers
02:49Soccer
02:49Nirvana
02:50cambia
02:51저희 저장 have
02:56QSrule
03:00QSrule
03:03QSrule
03:04QSrule
03:05QSrule
03:06QSrule
03:06QSrule
03:07QSrule
03:08QSrule
03:09QSrule
03:10QSrule
03:11QSrule
03:11QSrule
03:12QSrule
03:13QSrule
03:13QSrule
03:13QSrule
03:14QSrule
03:14QSrule
03:15QSrule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