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美 재무 "한국과 다음 주 무역 협상"
美 재무 "중요 교역국 협상엔 트럼프 참여"
美 재무 "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연일 오라카라 관세 정책으로 우리에게 피로감을 극도로 주고 있는 사람 있죠.
00:06바로 미국 트럼프 이야기 좀 해보겠습니다.
00:08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협력 가능성이 거론이 됐었는데
00:15이 얘기를 전해들은 트럼프의 반응이 이랬습니다.
00:30트럼프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00:49한중일의 경제 협력 가능성, 전혀 걱정 안 한다.
00:53뭐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00:54하지만 최근에 미국 재무장관은 동맹인 우리나라 그리고 일본과 함께 중국을 애워쌀 전략을 세우는 모양인 것 같은데
01:03합의는 빨리 할수록 유리하다 이렇게 얘기를 했네요.
01:06우리가 글쎄요, 우리 입장에서 합의를 빨리 해버리면 후회할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하고.
01:11네, 그렇죠.
01:12저거는 베센트 장관, 그러니까 미국 입장의 얘기겠죠.
01:17협상에 임해야 되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나라들은 또 입장이 다를 수 있겠죠.
01:22그리고 과거 전례를 봤었어도 협상에 먼저 임하는 게 유리할 때도 있지만 반대로 불리한 결과를 도출했던 때도 분명히 많이 있었습니다.
01:30저런 지금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금의 기류 변화는 제가 볼 때는 성과를 내야 된다라는 조급함들이 조금씩 반영되고 있는 것 같아요.
01:40최근 기류가 좀 바뀌었지 않습니까?
01:42초반에 관세에 대한 언포들을 막 하고 할 때는 강경 일변도였단 말이죠.
01:47동맹이든 우방이든 우리는 다 상관없다.
01:4990일 유예하고 협상하겠다고 그러고 중국만 그대로고 지금 뭔가 바뀌고 있죠.
01:54네, 사실 모든 대결의 구도는 위중으로 정리가 됐고 나머지는 관세에 유예.
02:00유연성을 최근에 많이 언급했지 않습니까?
02:03조금씩 한 발 물러서는 이런 기류로 가고 있잖아요.
02:06그래서 어떻게 보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런저런 후폭풍에 부딪히게 되니까
02:11이런 유예학원의 유연성을 강조하면서 한 발 물러서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02:15그리고 트럼프 팀 내에서도 이견을 표출하는 경우도 요즘에 많이 포착이 되고 있고
02:20공화당 내에서도 반발 기류가 뚜렷하고 있다.
02:24이 얘기는 이제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이 관세 정책을 계속 힘을 받고 밀고 나가려면
02:30이제 계속 관세를 부과하겠다 이것만 할 게 아니라
02:34개별 국가 협상을 통해서 성과를 실질적으로 내야 되는
02:38다급함이 여기에 반영이 된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02:42그래서 가장 어떻게 보면 상대하기 손쉬운 우방국들부터
02:46먼저 협상에 나서겠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으로 해석이 되고요.
02:52그런 측면에서 보면 이거 해석이 좀 달리할 수 있겠지만
02:55시간은 오히려 우리 편에 있다라고 보여지기도 합니다.
02:59그러네요.
03:00그러니까 미국이 지금 조금 조급함을 보인다는 건
03:02우리가 굳이 서두를 필요가 없는 상황
03:05시간이 우리 편이 되는 그런 상황이 되겠네요.
03:08이거는 미국 내에서의 복잡한 정치 환경도 반영이 된다라고 봐요.
03:12이제 올 하반기부터는 내년 예산안에 대한 부분을
03:16의회에서 본격적으로 협상하고 설득하고 해야 되거든요.
03:20이 관세 다음에 트럼프 행정부의 다음 키워드는 감세입니다.
03:24이 감세안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를 하려면
03:29이 관세 정책에서 일정 부분의 성과를 보여줘야 됩니다.
03:33배셋 장관의 말 중에 또 하나 다급함을 드러낸 게
03:35처음부터 모든 협상을 다 타결을 지을 필요는 없다.
03:40큰 방향부터 먼저 합의를 하고
03:42그다음에 세부협상을 진행해도 좋다라는 거거든요.
03:46성과를 내야 된다는 조급함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03:48미국이 지금 중국을 향해서 관세 재부과, 재재부과 이러면서
03:55지금 145%까지 관세를 때려넣은 상태인데
03:58그러면서도 또 대화는 먼저 하겠다고 손을 내밀었어요.
04:02그런 걸 보면 글쎄요, 트럼프가 조금 조급함이 있는 건 아닌가
04:07한번 저도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04:09그런데 이제는 관세를 넘어서서
04:12중국도 잘 버티고 있어요.
04:14이제는 전쟁이 관세를 넘어서서
04:16다른 문화적인 부분에서도 지금 통상전쟁으로 확산이 되고 있네요.
04:21네.
04:22중국은 지금 과거 트럼프 1기 4년, 바이든 행정부터 4년 겪었지 않습니까?
04:27미중 패권 전쟁이라는 흐름 속에서 대중국 압박은 계속해왔었어요.
04:33그 8년이라는 시간을 어떻게 보면 버티면서
04:35노하우가 쌓였겠군요.
04:37그렇죠. 노하우가 쌓인 것 같아요.
04:39학습 효과가 있는 것 같아요.
04:41그래서 지금 트럼프 행정부의 가공할 만한 관세 공격에도
04:45생각보다 크게 당황하지 않고 잘 대응을 하고 있고
04:49관세가 문제가 아니라 비관세 부분에서 미국이 아파하는 부분도
04:53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 같아요.
04:56지금 금융시장에서 돌고 있는 이야기
04:58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 대량으로 팔았다
05:01이런 이야기들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05:03또 하나 중국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무기 중에는 히토류
05:06카드를 드디어 꺼내들었지 않습니까?
05:09서서히 미국을 압박해 들어가고 있다는 기류도 읽혀집니다.
05:14우리가 잘 지켜봐야 되겠네요.
05:15중국이 어떤 전략을 쓰는지 우리도 좀 벤치마킹해서
05:19앞으로를 대비해야 될 것 같습니다.
05:22협상 너무 빨리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
05:24상황 보고 우리도 대응을 해야 되겠죠.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