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발 관세 전쟁 공포감이 커지면서 우리 증시도 폭락했습니다.
코스피는 오전 한때 5% 넘게 빠지며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형원 기자, 코스피가 폭락하면서 오전에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됐다고요?
[기자]
우리 주식시장은 문을 열자마자 추락했습니다.
코스피는 4.31% 폭락한 2,359.25로 출발했는데요.
이후 낙폭이 커지면서 오전 9시 12분쯤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선물지수가 전 거래일 종가보다 5% 넘게 급락하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매도 호가 효력이 5분 동안 일시 정지됐는데요.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5% 이상 떨어져 1분간 이어지면 발동됩니다.
사이드카가 발동된 건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후에도 5%를 넘나들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사이드카는 하루 한 번만 가능해 다시 5%대로 주가가 빠져도 추가로 발동할 수는 없습니다.
현재 코스피 낙폭은 5.1%가 넘습니다.
코스닥도 2.96% 급락해 667.02로 시작한 뒤, 지금 내림폭은 4.8%에 달합니다.
원화 값도 크게 떨어졌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27.9원 오른 1,462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오름세입니다.
우리 증시와 원화 값이 크게 떨어진 이유는 뭔가요?
[기자]
미국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에 중국이 '맞불 관세' 방침으로 반발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무차별 관세로 미국 경기 침체 우려도 커졌는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를 꺼내지 않고 있는 것도 시장에 공포감을 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우리 증시와 원화 값이 떨어지고 있는 건데요.
전문가들은 관세 불안이 정리되지 않는 한 당분간 시장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YTN 이형원입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713552579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코스피는 오전 한때 5% 넘게 빠지며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형원 기자, 코스피가 폭락하면서 오전에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됐다고요?
[기자]
우리 주식시장은 문을 열자마자 추락했습니다.
코스피는 4.31% 폭락한 2,359.25로 출발했는데요.
이후 낙폭이 커지면서 오전 9시 12분쯤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선물지수가 전 거래일 종가보다 5% 넘게 급락하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매도 호가 효력이 5분 동안 일시 정지됐는데요.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5% 이상 떨어져 1분간 이어지면 발동됩니다.
사이드카가 발동된 건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후에도 5%를 넘나들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사이드카는 하루 한 번만 가능해 다시 5%대로 주가가 빠져도 추가로 발동할 수는 없습니다.
현재 코스피 낙폭은 5.1%가 넘습니다.
코스닥도 2.96% 급락해 667.02로 시작한 뒤, 지금 내림폭은 4.8%에 달합니다.
원화 값도 크게 떨어졌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27.9원 오른 1,462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오름세입니다.
우리 증시와 원화 값이 크게 떨어진 이유는 뭔가요?
[기자]
미국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에 중국이 '맞불 관세' 방침으로 반발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무차별 관세로 미국 경기 침체 우려도 커졌는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를 꺼내지 않고 있는 것도 시장에 공포감을 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우리 증시와 원화 값이 떨어지고 있는 건데요.
전문가들은 관세 불안이 정리되지 않는 한 당분간 시장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YTN 이형원입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713552579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