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최대 인구 감소 지역인 가평군과 연천군에 대한 본격적인 인구감소 대응 정책이 시행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의 760억원 규모의 ‘2025년도 경기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수립,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인구감소지역은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출생률 저하 및 인구 유출 등의 요건을 기준으로 행정안전부에서 지정·고시한다. 경기도에는 가평군과 연천군이 해당한다. 도는 가평과 연천에 대해 생활인구 확대, 지역 일자리 증대, 거주환경 개선이라는 3대 목표를 정하고 34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가평군 미·영연방 관광안보공원 조성, 연천군 경원선 폐선을 활용한 복합휴게공간 설치 등 거점형 관광자원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체류형 관광객 유치는 인구유입과 지역 경제 활력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어서다.
실제 가평군이 청평호나 명지산 등의 천혜의 자연경관과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뮤직빌리지 같은 문화 관광의 강점을 앞세워 생활인구 100만명을 돌파한 점은 모범사례로 손꼽힌다.
지역 일자리 증대를 위해서는 농업인 조직 등에 농산물 생산·유통 기반 구축과 제조·가공, 홍보 등을 지원한다. 가평군의 경우 청년 창업자의 상품 사업화 및 임차료 지원을 추진한다. 연천군은 청년들에게 주거 및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시설을 조성해 청년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
경기 북부 ‘기회발전특구’ 지정도 추진
경기도는 이와 함께 ‘기회발전특구’와 같은 입주기업에 혜택을 줄 수 있는 제도가 경기 북부 지역에 지정되도록...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50?cloc=dailymotion
인구감소지역은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출생률 저하 및 인구 유출 등의 요건을 기준으로 행정안전부에서 지정·고시한다. 경기도에는 가평군과 연천군이 해당한다. 도는 가평과 연천에 대해 생활인구 확대, 지역 일자리 증대, 거주환경 개선이라는 3대 목표를 정하고 34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가평군 미·영연방 관광안보공원 조성, 연천군 경원선 폐선을 활용한 복합휴게공간 설치 등 거점형 관광자원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체류형 관광객 유치는 인구유입과 지역 경제 활력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어서다.
실제 가평군이 청평호나 명지산 등의 천혜의 자연경관과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뮤직빌리지 같은 문화 관광의 강점을 앞세워 생활인구 100만명을 돌파한 점은 모범사례로 손꼽힌다.
지역 일자리 증대를 위해서는 농업인 조직 등에 농산물 생산·유통 기반 구축과 제조·가공, 홍보 등을 지원한다. 가평군의 경우 청년 창업자의 상품 사업화 및 임차료 지원을 추진한다. 연천군은 청년들에게 주거 및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시설을 조성해 청년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
경기 북부 ‘기회발전특구’ 지정도 추진
경기도는 이와 함께 ‘기회발전특구’와 같은 입주기업에 혜택을 줄 수 있는 제도가 경기 북부 지역에 지정되도록...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50?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