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지난주 잠실구장의 모습입니다.

눈인지 먼지인지, 무언가가 밤하늘을 가득 뒤덮고 있는데요.

일명 '팅커벨'이란 별명이 붙은 동양하루살이 떼입니다.

사실 동양하루살이, 알고 보면 나쁜 곤충은 아닙니다.

2급수 이상 수질에서 서식해 환경이 얼마나 깨끗한지를 알려주는 지표인데요.

입이 퇴화해 사람을 물거나 감염병을 전파하지 못합니다.

다만, 밝은 빛을 좋아해서 밤이면 상가나 가로등 근처에 집단 출몰해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고요.

날개를 펴면 5㎝ 정도로 커서 거부감이 들죠.

또 사체에서 악취가 나 동양하루살이가 출몰하는 지자체에는 민원이 끊이지 않습니다.

그럼 방역을 하면 되지 않느냐? 싶죠.

동양하루살이 유충의 서식지인 한강 유역은 상수원 보호구역이라 살충제를 살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몇 가지 요령이 있긴 합니다.

창문에 붙은 하루살이에 물을 뿌리면 날개가 젖어 힘없이 떨어지니, 그때 제거하면 되고요.

또 동양하루살이가 밝은 빛을 좋아하는 만큼, 조명 밝기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요즘 또 말썽인 벌레가 있는데요.

주로 신축 아파트에서 발견되는 혹파리입니다.

가구의 원재료 등에 알이나 유충 상태로 머무르다가 성충이 되면 가구 사이의 틈을 통해 밖으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혹파리도 직접적인 해를 끼치진 않는데요.

다만 4㎜ 내외로 크기가 매우 작아 음식물이나 호흡기를 통해 몸 안에 들어갈 수 있고요.

벌레나 유충의 사체에 장시간 노출되면 호흡기나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앞의 두 벌레와 다르게 우리에게 직접 해를 끼치는 곤충도 있습니다.

일명 '목조주택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흰개미인데요.

최근 발견된 흰개미는 습한 목재와 마른 목재를 가리지 않고 갉아먹어 파괴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호주에서는 흰개미로 인해 목조건물이 붕괴하기도 했고요.

국내에 서식하던 흰개미가 팔만대장경 경판을 갉아먹는 일도 있었습니다.

환경부는 흰개미의 위험성이 적지 않다고 보고 관계기관과 공동 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도 흰개미 안전지대가 아니라며 새로운 방제 매뉴얼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박현철 부산대 생명환경화학과 교수/오늘YTN'뉴스라이더' : 우리가 일반적으로 농업 해충에 대응하는 방제로는 할 수가 없... (중략)

YTN 엄지민 (thumb@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30522145526581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