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계수기 들고와 5억 셌다”…아태협 前직원 ‘돈 전달’ 증언

  • 작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구자룡 변호사,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최병묵 정치평론가

[김종석 앵커]
이른바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서 검찰이 이화영 전 부지사를 추가 기소하면서 외국환거래법 위반 혐의를 더했습니다. 어떤 의미입니까?

[구자룡 변호사]
이것은 대북송금 자체가 이화영 평화부지사가 공범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쌍방울 관련 의혹이 진짜 턱 밑까지 왔다. 이렇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화영 평화부지사는 ‘나는 모르는 일이고 쌍방울이 자기들 이득을 위해서 독자적으로 한 것이다.’라고 했는데, 그러면 이게 지금 이미 기소되어 있는 3억 원 상당의 뇌물 및 정치자금 수수에 대한 것, 이미 기소되어 있는 것 하고 전혀 이게 지금 맞지 않는 내용이 되는 것이거든요? 뇌물은 주고 교류는 수년에 걸쳐서 했는데 전혀 의사 연락 없이 쌍방울이 독자적으로 행동을 했다? 사실 경기도의 움직임과 쌍방울의 움직임은 일맥상통하게 타임라인이 겹쳐서 흘러가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여기에 대해서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가 변호했던 내용은 믿을 수 없고,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니까 지금 쌍방울이 직원들을 동원해서 신고하지 않고 외화를 밀반출하고 환치기 방식을 통해서 북한에 전달했던 이 모든 과정이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와 김성태 전 회장이 의사 연락이 있는 공범 관계이기 때문에. (공범.) 그렇죠. 그래서 이 모든 것에 대한 공범으로서의 책임을 물어서 추가 기소가 되었다. 그러면 이것은 평화부지사가 뇌물을 받으면서 유착 관계가 있다는 것 하고 연결고리가 연결이 딱 되는 것이거든요? 그러면 그 즈음에 경기도가 대북사업을 위해서 공문을 주고받고 친서도 보내고 방북에 대해서 ‘요청서를 보내 달라.’ 이렇게 했던 것들이 이것에 이해서 평화부지사까지는 연결이 되는구나 하는 게 수사 과정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렇게 볼 수 있고, 이제 이재명 대표의 관련성은 그거 하나의 고리만 남아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희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