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몸통” vs “李 게이트”…대장동 ‘아전인수’ 공방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30~19:00)
■ 방송일 : 2022년 2월 23일 (수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종욱 동국대 행정대학원 대우교수[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미디어특보],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이승훈 변호사[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장예찬 시사평론가[국민의힘 선대본 청년본부장]

[김종석 앵커]
대선을 코앞에 두고요. 참 공교롭게도 녹취록 속에 윤석열은 죽어, 이재명 게이트, 이 두 단어는 등장합니다. 그래서 이도운 위원님. 그러니까 이재명 후보는 사실 관계 자료 다 들고 확인하자. 1 대 1 토론까지 제안을 조금 하고 있거든요?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지금 제일 이해하기 어려운 게 녹취록 특히 이제 김만배 씨의 말이 마치 무슨 성경에 나오는 말씀이라도 되는 것처럼 굉장히 그 내용을 해석하려고 그러는데. 지금까지 나온 내용을 쭉 보면 김만배 씨 그다음에 정영학 회계사나 이분들 하는 말씀을 들어보면 자기들끼리 사업에 말을 하는 거고 그 큰 흐름을 보면 뭐냐면 굉장히 많은 이익을 얻었는데 이 돈을 어떻게 나누느냐. 특히 사업을 초기에 주도했던 남욱, 정영학 이런 분들이 새로 들어와서 로비를 맡고 있는 김만배 씨가 과연 이 많은 돈을 제대로 쓰는 거야? 이런 의심을 가지고 있고. 김만배 씨는 내가 누구도 만나고 누구도 만나고 이런 로비도 하고 하는 거기 때문에 돈이 많이 드는 거야.

그런 흐름 속에서 나오는 것 같고 지금까지 녹취록에 나온 내용들이 상당히 정확하지 않은 내용들이 굉장히 많아요. 그래서 김만배 씨 한 마디에 따라서 이리로 저리로 흔들릴 필요는 없다. 이렇게 생각하고. 어쨌든 이 녹취록 때문에 상황이 굉장히 이제 복잡해졌는데 소크라테스가 이야기했습니다. 지혜는 정돈에서 나온다. 한번 정돈을 해볼까요? 그러면 어려울 때 항상 핵심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이 대장동 사태의 본질이 뭐냐, 핵심이 뭐냐. 소수의 사업자에게 엄청난 이익을 몰아주었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 과정에서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특혜적인 조항이 있었다. 또는 초과이익환수조항이 없어졌다. 그리고 수용은 시가 하면서 이익은 사업자가 갖게 했다. 그러면 이런 일이 나타나게 된 책임자가 누구냐.

이걸 지금 따지는 건데 실제로 어떤 그 책임의 경중을 따질 수는 있겠으냐 스스로 설계자라고 밝히고 모든 사업에 인허가권을 가지고 있고. 특히 그 성남시 그리고 공사에 인사권을 쥔 그런 그 이재명 후보에게 어쨌든 가장 큰 책임은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게 잘잘못이 있을 수 있고 잘못을 했더라도 그 크기는 이럴 수 있겠지만. 그래서 본질은 그 문제고 그래서 이재명 후보에게 가장 많은 의혹이 갈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말씀드리고 시간이 없어서 윤석열 후보와 관련된 부분은 말씀 안 드리겠습니다만 이제 1 대 1 토론을 하자. 그간에 그래서 1 대 1 토론을 하자고 했던 거 아닙니까? 윤석열 후보가. 결국은 자료를 가지고 오느냐 마느냐이기 때문에 무산이 되었는데 이제 와서 자료 가지고 오자. 지금 토론하자고 해서 솔직히 3월 9일 그 대선 전에 토론이 되겠습니까? 토론 안 될 거 뻔히 알면서 이런 제안을 한 게 아닌가. 면피용이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윤하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