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김종인 결별설까지 왜?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30~19:00)
■ 방송일 : 2022년 1월 4일 (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이재명 선대위 부대변인],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윤석열 선대위 홍보미디어총괄 부본부장], 최병묵 정치평론가

[김종석 앵커]
이준석 대표 이야기는 전권을 가진 총괄선대위원장이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게 어떻게 쿠데타냐. 이런 표현을 했어요. 근데 윤석열 후보 입장에서는 이걸 쿠데타라고 만약에 받아들인다면 김종인 선대위원장과 이준석 대표까지 다시 선대위에 들어온다. 그러면 나는 바보가 된 기분 아니냐. 그런데도 김종인 선대위원장을 선택하고 받아들여야 되냐. 정 위원님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윤석열 선대위 홍보미디어총괄 부본부장)]
그 후보께서는 지금까지 선거를 한 번도 치러보시지 않았잖아요. 그런데 이제 다른 분들 이 선대위에 있는 많은 분들은 대부분 선거를 치러 보셨거나 아니면 그 김종인 총괄위원장 같은 경우에는 대선을 계속 많이 치러보신 분이기 때문에. 그 후보님이 모르시는 여러 가지 부분이 있을 수 있어요. 현실적으로 선거를 치를 때는 각자 자기 역할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 그걸 영화로 비교를 하면 감독은 감독의 역할을 하고 조연 배우, 주연 배우 다 있잖아요.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조연 배우, 전부 다 감독의 역할만 한다면 사실 그 영화는 성공할 수가 없잖아요? 이제 그런 측면에서 김종인 위원장은 처음에 이제 이제 내가 전권을 가지고 드디어, 사실 지금 굉장히 혼란스럽잖아요? ‘뭔가 이 국면을 타개하고 가는 게 이 타이밍을 놓치면 안 되겠구나.’라고 하면서 아마 김종인 위원장께서는 하신 것 같아요.

왜냐하면 우리 후보께서 이제 선거, 대선을 치러보신 적이 없는 분이시니까. 이제 그런 면에서 약간의 오해가 있었는데, 이걸 나중에 차후에 두 분이 만나셔가지고 이야기를 다 하셨다는 거예요. 약간의 섭섭함은 솔직하게 후보님도 이야기를 하셨고. 이제 그 부분은 저는 넘어간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면 이제 앞으로 어떻게 할 거냐가 더 중요한 부분이잖아요. 근데 이제 그 연기, 뭐 이런 말 부분에 대해서 섭섭하다. 이런 후보님이나 그 측근 주변에서 이제 말씀이 나오시는데. 아까 제가 말씀드린 것처럼 김제원 최고위원도 저하고 같은 생각으로 말씀하신 건데. 이건 영화의 어떤 부분적인 다 역할인데 그 역할을 잘 하자. 이런 의미였다고 하는데 저도 그 말에 사실 동의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윤하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