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조선왕조실록] 음력 8월 30일 (9월 23일)

  • 5년 전
■ 세종 7년 (1425) : 서이궁의 이름을 연희궁으로 개칭하다
⇒ 서이궁(西離宮):서쪽에 있는 별궁. 정종이 태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거처했고, 태종도 이곳에 머물렀다

■ 세종 9년 (1427) : 사헌부에서 늘어난 유감동의 간부에 대해 보고
⇒ 현직 현감의 부인 유감동과 간통한 남자들에 대한 추가 보고가 있었는데, 한 관리는 관아에서 간통하고 관청의 물건까지 훔쳐다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 세종 24년 (1442) : 절을 파괴한 감사, 수령을 심문하는 것을 사헌부가 반대했으나 불허
⇒ 절을 파괴한 수령을 처벌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사헌부가 반대하자 임금 몰래 이런 일을 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처벌을 지시 했다

■ 광해 원년 (1608) : 비변사가 누루하치를 정탐할 것을 청하자 허락함

■ 광해 14년 (1622) : 경상도 연안에 큰 바람이 불어 바다물이 넘쳐 민가와 전선이 파괴되다

■ 숙종 21년 (1695) : 가을인데도 쌀값이 치솟아 한 말이 50전이나 하다
⇒ 추수철인데도 쌀값이 폭등해 한 말에 50전이 되었다가 다음 해 봄에는 200전으로 폭등 했다

■ 숙종 31년 (1705) : 과거에 불합격한 답안지 종이 수량이 적어 감시관을 파면시킴
⇒ 물자가 귀한 당시에는 과거시험에서 불합격한 종이 답안지는 군인들의 겨울옷을 만드는데 재활용됐는데, 종이가 많이 모자라자 과거 시험감독관이 파직되었다

■ 정조 10년 (1786) : 봉수를 신중히 하지 않은 충청 수사를 파직하다

■ 정조 16년 (1792) : 산골이나 섬의 세금을 반감하라고 지시

■ 고종 20년 (1883) : 인천항의 일본 조계 조약을 체결하다
⇒ 인천항에 일본인 거주지가 설정됐다. 일본은 조계 설정을 통해 조선 영토를 잠식하고 상권을 점유했고, 조선침략 기지로 활용했다

도움말 : 김덕수 (통일농수산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