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며 집중투표제 활성화 및 감사위원 분리 선출의 단계적 확대를 공약했다. 지난 17일 국회 본회의 재표결 끝에 부결된 상법 개정안보다 ‘더 세진’ 소액 주주 권리 강화 입법을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고 금융투자협회 간담회에 참석했다. “회복과 성장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주가지수 5000 시대를 열겠다”며 발표한 정책 패키지의 일환으로 상법 개정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간담회에서 “상법 개정안은 우리가 무슨 특별한 제도를 만드는 게 아니다”라며 “일상적으로 평균적 수준에서 필요한, 다른 나라들도 다 하는 정상적인 기업 지배 구조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된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 회사의 전자 주주총회 도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이 골자였다. 이 후보가 이날 다시 꺼내 든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 선출 조항의 경우, 경제계 반발이 심해 국회가 추진을 잠정 연기했던 내용들이다. 앞서 한국경제인협회는 이사 충실의무 확대,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등을 모두 담은 상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상장 유지 비용이 평균 12.8%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후보는 집중투표제에 대해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다”고 설명했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은 “경영 감시 기능 강화”를 이유로 들었다. 이 후보는 이어 “‘쪼개기 상장’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165?cloc=dailymotion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고 금융투자협회 간담회에 참석했다. “회복과 성장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주가지수 5000 시대를 열겠다”며 발표한 정책 패키지의 일환으로 상법 개정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간담회에서 “상법 개정안은 우리가 무슨 특별한 제도를 만드는 게 아니다”라며 “일상적으로 평균적 수준에서 필요한, 다른 나라들도 다 하는 정상적인 기업 지배 구조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된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 회사의 전자 주주총회 도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이 골자였다. 이 후보가 이날 다시 꺼내 든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 선출 조항의 경우, 경제계 반발이 심해 국회가 추진을 잠정 연기했던 내용들이다. 앞서 한국경제인협회는 이사 충실의무 확대,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등을 모두 담은 상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상장 유지 비용이 평균 12.8%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후보는 집중투표제에 대해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다”고 설명했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은 “경영 감시 기능 강화”를 이유로 들었다. 이 후보는 이어 “‘쪼개기 상장’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165?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지금은 휴면 개미인데 꽤 큰 개미 중에 하나 있어요.
00:03제가 정치를 그만두면 다시 또 주식시장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99.9%죠.
00:08대통령 선거에 떨어져가지고 상당 기간은 정치를 안 하겠다 싶어서
00:11나름 영국 끝에 조선주를 좀 사놨더니 갑자기 국회의원이 되는 바람에
00:15제가 그때 도로 팔았는데 지금 3배가 넘게 올랐더라고요.
00:30경제 현장에서 여러분들이 너무 잘 아시겠지만
00:56지금 대한민국 경제가 너무 어렵습니다.
01:01그 경제 문제라고 하는 게 우리 국민들 다수의 삶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01:08또 한편으로 보면 일시적인 경기 침체 문제를 넘어서서
01:11구조적 위험에 처해 있는 것 같습니다.
01:16어쨌든 경제 정책에 관한 문제야 나중에 얘기하더라도
01:20일단은 이 자본시장이 정상화, 활성화되는 게 정말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01:26그 첫 번째 이유는 대한민국이 이제 사실 자산시장이 부동산 중심으로 돼 있어서
01:36부동산 집가 급등에 따른 많은 폐해가 발생을 합니다.
01:41그런데도 모두가 부동산에 매달리죠.
01:45사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01:48이 자본시장이 좀 비정상적이다 보니까
01:51사실 외국 선진국들이야 다 주식 투자를 참 많이 하지 않습니까?
01:58주식 투자해서 배당받아서 생활비도 쓰고
02:03그런데 우리나라는 배당도 별로 잘 안 주는 것 같고
02:06주가도 잘 안 오고
02:08가끔씩 보면 누가 주가 조작해서 훔쳐가지를 않나
02:13심지어 분명히 우량주라고 생각해서 장기 투자하려고 가지고 있는데
02:20어느 날 보니까
02:20이 살찐 암수라고 생각해서 사놨더니
02:25송아지 나와가지고 송아지 주인이 다른 사람이 되어버린 거예요.
02:31그러다 보니 이게 우량주 장기 투자라고 하는 것도 하기가 어려워진 거죠.
02:35어쨌든 이런 여러 가지 문제들 때문에
02:38참 듣기 싫은 얘기이긴 한데
02:43국장 탈출은 진흥순이라는 그런 황당한 유모까지 생길 정도가 됐습니다.
02:53외국인 투자자들도 한국 시장에 대한 불신이 많아진 상태 아닌가 싶어요.
02:58저는 우리 국민들께서
02:59이 자산시장 중에서도 금융시장에서
03:03또 자본시장에서 좀 혜택을 누리면 좋겠어요.
03:07대한민국 주가 지수가 있으면 오늘 얼마 가나 모르겠는데
03:10한 2,500 왔다 갔다 하고 있죠.
03:15이게 한 5,000 정도 4,000 정도 넘어간다면
03:17우리나라 대한민국의 국부가 늘어나지 않습니까.
03:21회사의 자산가치도 늘어날 테고
03:24투자한 주식 보유자들의 계산도 늘어날 테고
03:29대한민국 전체 국부도 늘어나지 않습니까.
03:33그래서 반드시 가야 될 길이다.
03:35그중에 핵심적으로는 말씀드렸지만
03:38주식시장이 규칙이 지켜지는 정상적인 시장이 돼야 됩니다.
03:44조작하는 거 절대 못하게 해야 되고
03:46공시 엉터리로 해가지고 또는 비밀정보 이용해서
03:50누군가는 듣고 누군가는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03:53이런 불공정이 완전히 사라진 시장으로 만들어야 되겠죠.
03:55그리고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03:58대주주들의 지배권 남용이 어렵게 만들어야 됩니다.
04:04이번에 상권 개정을 실패했는데
04:06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시 해야 될 것 같아요.
04:12저는 그거 이해가 안 됩니다.
04:13국제 경쟁을 하겠다는데
04:14아니 이런 집안에서 막 혜택 보고
04:19규칙 안 지켜서 부당한 이익을 얻으면서
04:21어떻게 전 세계 글로벌 기업들하고 경쟁을 합니까
04:25그래서 어떻게 살아남겠어요
04:27그리고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라고 하는
04:33코리아 디스카운트 지정학적 리스크라고 하는 게
04:36지금 너무 심화되어 있죠.
04:40혹시 전쟁 나지 않을까 이런 나라에 투자하기 어렵죠.
04:44평화와 안정을 구축하는 게 정말로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04:49이런 걸 포함해서
04:50우리 현장에서 저보다 훨씬 더 많이 알고 계시고
04:54대한민국 방향도 잘 제시해 주실 분들이니까
04:58좋은 말씀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