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와 중국의 맞불 관세 발표 이후 뉴욕 증시는 역대 최대 규모로 폭락했습니다.
이번 주에도 주식시장은 관세 정책을 최대 재료로 삼을 전망인데 특히 미국이 중국을 다시 관세로 압박할지가 최대 관심사입니다.
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해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잔디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현지 시간 5일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11조천억 달러가 사라졌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기본 관세와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이틀간 역대 최대인 6조6천억 달러, 우리 돈 9,645조 9,000억 원이 빠졌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34% 부과에 중국이 미국산 상품에 대해 똑같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주식시장은 그야말로 패닉 상황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소식에 "중국은 잘못된 결정을 했다"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응했는데,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 관세에 다시 추가 관세를 부과할지 관심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또다시 반격한다면 경제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기술 분야뿐 아니라 미국을 경기 침체로 몰고, 강세장을 끝낼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공으로 일관한다면 전 세계의 경기침체 우려도 더욱 커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JP모건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40%에서 60%로 올려잡았습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 역시 물가 상승 등 관세의 영향이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시장에서는 관세와 보복 관세의 끝이 어디일지, 어떻게 결론 날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습니다.
관세 외에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제지표,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는 10일 발표됩니다.
전문가들은 전달 대비 0.1% 상승,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6% 올랐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11일에는 3월 생산자 물가지수도 발표되는데, 전문가들은 전달 대비 0.2% 상승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같은 날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도 나옵니다.
소비자의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장·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만큼 관심이 높습니다.
이 밖에도 현지 시간 9일 3월... (중략)
YTN 김잔디 (jand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06104658825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이번 주에도 주식시장은 관세 정책을 최대 재료로 삼을 전망인데 특히 미국이 중국을 다시 관세로 압박할지가 최대 관심사입니다.
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해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잔디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현지 시간 5일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11조천억 달러가 사라졌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기본 관세와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이틀간 역대 최대인 6조6천억 달러, 우리 돈 9,645조 9,000억 원이 빠졌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34% 부과에 중국이 미국산 상품에 대해 똑같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주식시장은 그야말로 패닉 상황이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소식에 "중국은 잘못된 결정을 했다"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응했는데,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 관세에 다시 추가 관세를 부과할지 관심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또다시 반격한다면 경제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기술 분야뿐 아니라 미국을 경기 침체로 몰고, 강세장을 끝낼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공으로 일관한다면 전 세계의 경기침체 우려도 더욱 커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JP모건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40%에서 60%로 올려잡았습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 역시 물가 상승 등 관세의 영향이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시장에서는 관세와 보복 관세의 끝이 어디일지, 어떻게 결론 날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습니다.
관세 외에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제지표,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는 10일 발표됩니다.
전문가들은 전달 대비 0.1% 상승,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6% 올랐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11일에는 3월 생산자 물가지수도 발표되는데, 전문가들은 전달 대비 0.2% 상승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같은 날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도 나옵니다.
소비자의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장·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만큼 관심이 높습니다.
이 밖에도 현지 시간 9일 3월... (중략)
YTN 김잔디 (jand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06104658825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