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앵커
■ 출연 : 이종수 해설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이례적으로 북한 김정은이 핵무기를 갖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자신의 귀환을 반길 것이라며 직접 대화 기대감도 표시했습니다. 정상외교 공백 속에 북한 비핵화가 물 건너 가는 건 아닌가, 미국과 북한과 직접대화와 우크라전 협상에서 한국이 소외되는 건 아닌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수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 시대가 열렸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취임하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언급하면서 파장이 좀 일고 있는 것 같은데 과거 미국 고위당국자들이 피해 왔던 발언이지 않았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일절 하지 않았던 것이죠. 어제 취임 첫날 백악관에서 업무를 시작하면서 기자들과 일문일답에서 그렇게 했습니다. 일단 먼저 관련 발언을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 시간 20일) : 북한이 잘 풀린 것 같습니다.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도 날 좋아했습니다. 나도 그를 좋아했고 우린 잘 지냈습니다. 그들은 북한이 심각한 위협이라고 여겼죠. 이제 김정은은 핵무기를 갖고 있는 세력입니다.]
[기자]
이에 앞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도 북한 핵보유 인정 발언을 해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상원 인준 청문회 자리였는데요. 그 자리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 그러니까 뉴클리어 파워라고 지칭했습니다. 이게 미국, 중국과 같이 북한에 대해서 뉴클리어 웨폰스테이트 이런 것으로 부른 것은 아니고요. 인도나 파키스탄 같이 핵을 보유하고 있다, 뉴클리어 파워라고 부른 것이죠.
그럼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을 언급한 것을 두고 대통령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것으로 봐야 되는 겁니까?
[기자]
일단 우리 외교부는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을 수 없다고 못박듯이 말을 하고 있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북한의 핵보유와 핵 제공을 금지하고 있는 NPT, 핵확산금지조약 이 체제가 핵보유국 지위가 인정되면 무너지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우리 정부... (중략)
YTN 이종수 (js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122203409105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이종수 해설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이례적으로 북한 김정은이 핵무기를 갖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자신의 귀환을 반길 것이라며 직접 대화 기대감도 표시했습니다. 정상외교 공백 속에 북한 비핵화가 물 건너 가는 건 아닌가, 미국과 북한과 직접대화와 우크라전 협상에서 한국이 소외되는 건 아닌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수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 시대가 열렸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취임하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언급하면서 파장이 좀 일고 있는 것 같은데 과거 미국 고위당국자들이 피해 왔던 발언이지 않았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일절 하지 않았던 것이죠. 어제 취임 첫날 백악관에서 업무를 시작하면서 기자들과 일문일답에서 그렇게 했습니다. 일단 먼저 관련 발언을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 시간 20일) : 북한이 잘 풀린 것 같습니다.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도 날 좋아했습니다. 나도 그를 좋아했고 우린 잘 지냈습니다. 그들은 북한이 심각한 위협이라고 여겼죠. 이제 김정은은 핵무기를 갖고 있는 세력입니다.]
[기자]
이에 앞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도 북한 핵보유 인정 발언을 해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상원 인준 청문회 자리였는데요. 그 자리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 그러니까 뉴클리어 파워라고 지칭했습니다. 이게 미국, 중국과 같이 북한에 대해서 뉴클리어 웨폰스테이트 이런 것으로 부른 것은 아니고요. 인도나 파키스탄 같이 핵을 보유하고 있다, 뉴클리어 파워라고 부른 것이죠.
그럼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을 언급한 것을 두고 대통령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것으로 봐야 되는 겁니까?
[기자]
일단 우리 외교부는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을 수 없다고 못박듯이 말을 하고 있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북한의 핵보유와 핵 제공을 금지하고 있는 NPT, 핵확산금지조약 이 체제가 핵보유국 지위가 인정되면 무너지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우리 정부... (중략)
YTN 이종수 (js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122203409105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