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 방송 : 채널A 특집 뉴스A 라이브 (12시~13시 20분)
■ 방송일 : 2024년 12월 30일 (월요일)
■ 진행 : 황순욱 앵커
■ 출연 : 안영태 극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전공 교수

[황순욱 앵커]
이번 사고 여객기 기장은 약 6,800여 시간이 넘는 비행 경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항공업계에서는 동체착륙 자체는 조종사가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선택지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일단 많은 전문가들이 영상으로만 보면 동체착륙 자체에 문제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결국 많은 사망자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동체가 외벽과 충돌하면서 폭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이야기를 하더군요.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전공 교수]
그렇습니다. 해당 기종 같은 경우에, 앵커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연료를 버리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항공기는 아니었고요. 상당 시간을 방콕에서 오면서 연료도 상당 부분 소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앞서 안영태 교수님께서도 말씀해 주셨지만, 실제로 복행하는 과정에서 선회 등의 부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조종사의 판단에 의해서, 여러 조건에 의해서 최선의 선택을 했겠지만, 여러 보도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접지 구역(터치다운 존)을 보면 당초 1번 활주로가 아닌 반대 측 19번 활주로로 진행을 하면서 거의 중간 정도부터 접지가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중간 정도부터 접지 구역이 형성되다 보니까 상당히 많은 제동거리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결국 외벽과 외벽 앞쪽의 둔덕 형태의 언덕이 형성되어 있죠. 이 부분까지 굉장히 빠른 속도로 충격이 되면서, 보통 물리적으로는 작용-반작용 이야기를 하는데요. 실제로 항공기가 작용을 하면서, 반작용되는 점들이 유연하거나 외벽 및 둔덕이 없는 상황이라고 하면 물리적인 충격이 상당히 감소되었을 텐데,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항공기 자체로 밀려들면서 피해가 확대된 것으로 보입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태섭 인턴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