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폭파한 경의선·동해선에 방벽이 아닌 구덩이를 파고 ‘보여주기식’ 남북 단절 작업을 벌였다고 판단했다. 11m에 이르는 토성도 쌓았다. 군은 북한이 이처럼 군사적으로는 큰 실효성이 없는 행동 뒤 인공기를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한 사실도 공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북한이 지난달 15일 폭파한 경의선·동해선 남북연결 도로에서 다수의 병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지난 토요일(지난 2일)까지 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기존의 철도와 도로가 있던 곳에 좌우로 120~160m, 남북으로 10m, 깊이 3~5m의 대전차구(전차의 기동을 차단하기 위해 판 구덩이)를 콘크리트로 만들었다.
해당 콘크리트는 경의선의 경우 좌우로 120m, 남북으로 10m 길이, 깊이 3m로 형성됐다. 북한은 그 뒤에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높이 1m의 옹벽을 세웠다. 동해선 대전차구는 좌우 160m, 남북 10m, 깊이 5m로 형성됐다.
북한은 각각의 대전차구 바로 북쪽 뒤편에 흙을 쌓고 나무를 심어 낮은 형태의 성토지도 만들었다. 경의선은 좌우 45m에 높이 11m로, 동해선은 좌우 50m, 높이 5m로 나타났다.
다만 이를 통해 거둘 만한 군사적 효용성은 거의 없다는 게 군 당국의 평가다. 합참 관계자는 “이는 북한이 주장하는 '남북연결 완전차단' 조치를 완료했다는 ‘보여주기식 공사’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자는 “전쟁을 안 한다는 의미로만은 해석할 수 없는 게 대전차구 같은 건 언제나 메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군은 북한이 유사시 산에 있는 흙을 앞쪽의 대전차구에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9388?cloc=dailymotion
합동참모본부는 4일 “북한이 지난달 15일 폭파한 경의선·동해선 남북연결 도로에서 다수의 병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지난 토요일(지난 2일)까지 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기존의 철도와 도로가 있던 곳에 좌우로 120~160m, 남북으로 10m, 깊이 3~5m의 대전차구(전차의 기동을 차단하기 위해 판 구덩이)를 콘크리트로 만들었다.
해당 콘크리트는 경의선의 경우 좌우로 120m, 남북으로 10m 길이, 깊이 3m로 형성됐다. 북한은 그 뒤에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높이 1m의 옹벽을 세웠다. 동해선 대전차구는 좌우 160m, 남북 10m, 깊이 5m로 형성됐다.
북한은 각각의 대전차구 바로 북쪽 뒤편에 흙을 쌓고 나무를 심어 낮은 형태의 성토지도 만들었다. 경의선은 좌우 45m에 높이 11m로, 동해선은 좌우 50m, 높이 5m로 나타났다.
다만 이를 통해 거둘 만한 군사적 효용성은 거의 없다는 게 군 당국의 평가다. 합참 관계자는 “이는 북한이 주장하는 '남북연결 완전차단' 조치를 완료했다는 ‘보여주기식 공사’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자는 “전쟁을 안 한다는 의미로만은 해석할 수 없는 게 대전차구 같은 건 언제나 메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군은 북한이 유사시 산에 있는 흙을 앞쪽의 대전차구에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9388?cloc=dailymotion
Category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