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성공률 20%는 높은 수준…세계 최대 가이아나 16%였다"

  • 어제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입을 열었다. 아브레우 고문은 7일 기자회견에서 “20%의 성공률은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이라며 ”유망성이 상당히 높아 세계적인 석유 관련 회사들이 주목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영일만 석유’를 둘러싸고 불거진 각종 의혹에 대해 답하면서다.

 
이날 아브레우 고문은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여러 의혹과 관련한 질문에 답을 내놨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동해 심해 지역에 부존돼있을 가능성을 발표한 이후 신뢰도와 가능성을 놓고 ‘물음표’가 더해져 왔다.

 
의혹은 크게 네 가지다. 아브레우 고문에 앞서 동해 심해탐사를 진행한 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인 우드사이드에너지는 장래성이 없다고 보고 철수했다. 또 정부는 매장량이 최대 140억 배럴이라고 했지만, 사실상 “액트지오의 탐사 심층 분석 결과”라는 답변만 나왔을 뿐 구체적인 근거는 공개된 바가 없다. 20%의 성공 가능성도 이유가 제시되지 않았다. 액트지오의 사무실이 개인 주택이라는 점을 근거로 믿을 수 있는 회사인지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
  ①호주 우드사이드에너지 철수

  우드사이드에너지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15년간 한국석유공사와 함께 동해 8광구와 6-1광구에 대한 물리 탐사를 진행했다. 해당 광구는 정부가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높게 보는 위치다. 그러나 2022년 3월 우드사이드에너지는 철수 의향을 표시하고 지난해 1월 철수했다. 당시 이 회사는 반기보고서에서 “더는 장래성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4807?cloc=dailymotion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