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 이어 일본도…달 남극 선점 나선 우주 강국들

  • 9개월 전
인도에 이어 일본도…달 남극 선점 나선 우주 강국들

[앵커]

우주 강국들의 달 탐사 경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류의 심(深)우주 진출에 교두보가 될, 달 남극을 선점하기 위한 신경전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인데요.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몇 차례 발사 연기 끝에 지난 7일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쏘아올려진 로켓.

여기서 무사히 분리된 '슬림'은, 내년 1∼2월 일본 최초이자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달 착륙을 시도하게 됩니다.

목표로 삼은 지점에 탐사선을 정확히 내려앉히는 기술을 검증한다는 계획입니다.

"(핀포인트 착륙은) 항공기가 매우 높은 정밀도로 착륙해 약 100m 정도의 정확도를 달성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달 남극에 안착해 전세계를 놀라게 한 인도의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는 14일간 임무를 충실히 수행해 또 한번 주목받았습니다.

달 남극 표면에 '황'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토양의 기온을 측정하는가 하면 40cm를 점프해 이동하기도 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달을 둘러싸고도, 가열차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 항공우주국이 추진 중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단기 목표는 오는 2025년 달 남극에 우주비행사를 발딛게 하는 것.

중국 역시 내년에 '창어6호'를 발사해 달 뒷면 샘플 채취의 효시가 되고, 2026년 달 남극에 탐사선을 보낸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습니다.

달의 극지방이 타깃이 된 것은, 물과 얼음, 희토류 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

달에 먼저 자리를 잡을 경우, 과거 해양 강국이 누렸던 영광이 재연된다는 기대감도 반영됐습니다.

"(달에서 헬륨3 등) 모든 금속을 회수하는 일의 경제적 모델, 또는 이게 수익을 낼 수 있을지는 나도 모릅니다. 하지만 (캐나다)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때 멈추지 않았듯 모두 다 가고 있는 겁니다."

다만, 이 같은 자원을 특정 국가가 독점해 소유할 수 있는지 등 논란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습니다.

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 (sunny10@yna.co.kr)

#달_남극 #일본 #인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