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중국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 인하

  • 9개월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중국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 인하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를 2개월 만에 인하 했습니다. 일반대출 기준인 1년 만기 LPR을 연3.45%로 0.1p 내렸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인민은행의 금리인하 발표 이후 홍콩 증시 등 중화권 증시가 약세를 보였는데 시장이 기대했던 바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뜻일까요?

다만 주택담보대출 기준으로 알려진 5년 만기 LPR은 종전 금리를 유지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시장 과열을 우려하고 있는 건가요?

금리 인하에 앞서 중국 금융당국은 금융기관들에 대출확대를 주문했습니다.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의 채무 불이행 위기가 금융권으로 확산할 조짐이 보이자 정책적인 관리를 당부한 것 같은데 위기를 풀어나갈 해법이 될 수 있겠습니까?

'중국의 40년 경제 호황이 끝났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고도성장을 이끌어 온 건설 위주 성장모델이 한계에 직면해, 더는 지속하기 힘들다는 건데 어떻게 진단하시나요? 향후 글로벌 경제에는 어떤 변수가 될까요?

현재 정부는 중국 경제 상황반을 가동하고 있는데 중국 경제에서 우리가 가장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중국과 교역 비중이 높고 금융, 외환, 주식시장 등 연결 고리가 많은데 여파는 어떨까요?

한편,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은 금리 역전 현상 자체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발생하는 실물경제 충격이 환율 불안을 촉발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원화 가치가 하락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실제론 달랐다는 건가요?

이런 가운데 이번 주 한국은행 금통위가 열릴 예정입니다. 기준금리가 어떻게 운용될지 관심인데 시장에서는 동결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는데 어떤 배경 때문인가요? 현재 금통위는 어떤 부분을 가장 주목하고 있을까요?

기준금리와 함께 올해 경제전망 수정치도 발표될 예정입니다.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데다 내수 중심의 소비 회복이 강하지 않은 부분이 우려되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도 더해지고 있는데 우리 경제 상저하고에 암초가 되진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