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결] 잼버리 조직위, 폐영식 및 콘서트 준비 상황 발표

  • 9개월 전
[현장연결] 잼버리 조직위, 폐영식 및 콘서트 준비 상황 발표

'세계 잼버리 대회'의 대미를 장식하는 폐영식과 K팝 콘서트가 오늘(11일) 열립니다.

급작스럽게 장소가 변경된 데다 태풍 속 준비 등으로 안전 등 우려가 나왔던 상황인데요.

잼버리 조직위원회가 준비 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들을 발표합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강정원 / 문화체육관광부 대변인]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대변인 강정원입니다.

2023년 세계 잼버리가 11일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폐영식과 K-POP 슈퍼 라이브 콘서트를 마지막으로 공식 행사를 마무리합니다.

폐영식은 이날 오후 5시 30분부터 6시까지 30분간 2023년 세계잼버리 활동 하이라이트 영상 상영, 스카우트 선서, 차기 개최국 연맹기 전달, 환송사, 폐영 선언, 폐영사 순으로 진행됩니다.

이 자리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공동조직위원장, 집행위원장, 앤디 채프먼 세계스카우트연맹 이사장, 아흐메드 알헨다위 세계스카우트연맹 사무총장, 반기문 명예위원장을 비롯해 조기 퇴영한 영국, 미국, 싱가포르 대원도 함께 참석할 예정입니다.

7분 동안 상영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에는 4만여 스카우트 대원들이 새만금 야영지에 도착해 텐트를 설치하는 순간부터 태풍 카눈 예보로 전국 8개 지역으로 자리를 옮겨 잼버리 활동을 끝까지 이어가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스카우트 선서는 한국, 아일랜드, 코트디부아르로 3개국 스카우트 대표자가 나서며 이후 한국 대원이 차기 세계 잼버리 개최국인 폴란드 대원에게 스카우트 연맹기를 건네주는 전달식이 진행됩니다.

이후 아흐메드 세계스카우트연맹 사무총장과 한국스카우트연맹의 환송사와 폐영 선언이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폐영사 연설에서 4만여 스카우트 대원들이 보여준 스카우트 정신과 꿈을 응원하며 작별 인사를 전할 예정입니다.

행사장 입장과 관련해서 정부와 조직위는 버스 1000여 대, 4만여 명의 참가자 등 행사 규모를 고려해서 14시부터 시도별로 각 지역 책임자들 안내하에 안전하게 순차적으로 분산 입장할 계획입니다.

저녁 식사 이후 시작되는 K-POP 슈퍼 라이브 콘서트는 19시부터 21시까지 개최되며 1부와 2부 각 60분씩 진행됩니다.

K-POP 슈퍼 라이브 콘서트에 출연하는 아티스트는 뉴진스, 아이브 등 19개 팀입니다.

스카우트 대원 전원에게는 잼버리 추억을 간직한 콘서트 리멤버 키트 기념품을 선물합니다.

콘서트 리멤버 키트에는 2023년과 24년 한국 방문의 해 기념을 하기 위한 에코백, K-POP 콘서트 응원봉, 한국의 대표 캐릭터 중 하나인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 상품, K-POP의 대표 아티스트인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포토카드 등 K-컬처와 대한민국을 떠올릴 수 있는 품목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숙소 복귀와 관련해서 숙소 이동 거리 및 출국 일정 등을 고려해서 폐막 후에 원격지부터 출발할 수 있도록 좌석 및 지역별주차 계획을 수립하였고 21시부터 순차 퇴정하되 주차 위치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해서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지 않도록 동선을 안전하게 관리할 예정입니다.

행사장 안전 관리와 관련해서 정부와 세계잼버리 조직위원회는 폐영식과 K-POP 슈퍼 라이브 콘서트가 안전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파 관리, 현장 지휘소 운영 상황, 구조, 구급 계획 등을 중점 점검하였고 행사장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교통 통제 및 인파 관리를 위한 경찰 등 인력을 배치해서 공연 시작 전부터 공연 종료 후 잼버리 참가자들이 행사장을 떠나는 시점까지 참가자들의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세계잼버리조직위원회는 세계스카우트연맹과 긴밀히 협조해서 스카우트 대원들의 출국을 위한 차량 배정과 수송까지 빈틈없이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감사합니다.

[사회자]

저희는 질문하고 통역하고 답변하고 통역하는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그리고 시간 관계상 매체별 1개의 질문만 받도록 하겠습니다.

질문하시고자 하는 기자님께서 손을 들어주시면 사회자가 지명하겠습니다.

[기자]

폐영식 이후에 대원들의 출국 일정과 그 출국 과정에서 정부가 어떤 부분을 지원하게 되는지 여쭤보고 싶고요.

숙소를 못 구한 나라의 대원들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이런 대원들 같은 경우에는 숙소를 어떻게 구하게 되는 건지, 잼버리 공식 일정이 끝난 뒤에 일정 같은 것들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권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 ]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 김권영입니다.

먼저 폐영식 이후 출국 일정은 저희들이 좀 더 확인을 좀 해 봐야 됩니다.

그래서 좀 더 확인을 해서 리스트를 주는데 다만 오늘부터 출국을 하는 경우도 있고요.

그다음 12일 이후에도 출국을 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습니다.

13일, 14일에 출국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기 때문에 자세한 일정별 출국하는 국가는 저희들이 좀 더 정리를 해서 제공을 하도록 하고요.

그다음에 저희들이 지원은 공식적으로는 내일 12일 아침까지만 제공하고 그다음 그 이후에 만약에 출국을 하는 경우 먼저 공항으로 수송 지원을 해 주는 걸로 그렇게 돼 있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에 개별적으로 우리나라에 남아서 다른 프로그램이라든지 관광이라든지 하는 경우에는 그 나라가 부담하는 걸로 그렇게 돼 있습니다.

현재는 숙소에 다 있고요. 혹시 숙소를 못 구하는 경우에는 저희들이 연계 같은 경우에는 해 줄 수 있는데 원칙적으로 내일 12일 이후에는 해당 국가가 숙소를 정하는 걸로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