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사드 전자파’ 인체 무해 알고도 쉬쉬

  • 작년


[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대한민국 이슈마다 괴담이냐, 검증이냐 반복되는 논란이죠. 

사드 기지에서 전자파가 나온다며 성주 참외를 갈아엎기도 했지만 6년 만에 휴대폰보다 전자파가 적게 나온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 때 이미 사드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런데도 정식 환경영향평가를 미루고 사실상 쉬쉬한 정황이 나왔습니다. 

종지부를 찍지 않으니 사드 괴담이 멈추지 않았던 셈인 거죠.

김호영 기자입니다.

[기자]
2017년 9월, 환경부는 경북 성주 사드 기지의 전자파가 인체 보호 기준의 0.038% 수준으로 매우 안전하다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별도로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박수현 / 당시 청와대 대변인 (2017년 5월)]
"절차적 정당성을 밟아야 한다는 것이며 이것을 위해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미국이 이해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문재인 정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환경부에 협의 요청을 하지 않았고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국방부는 그와 별도로 문재인 정부 내내 자체적으로 전자파 측정을 해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7년 이후 6년 동안 41차례나 측정했는데, 윤석열 정부 들어 최종 발표한 인체보호 기준의 0.189%보다 한 차례도 높게 나온 적이 없었습니다. 

여당은 지난 5년 동안 청와대와 국방부가 사드 전자파가 무해하다는 것을 알고도 쉬쉬했다고 의심했습니다. 

[박대출 /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문재인 정부가 사드 기지의 전자파 측정을 통해 전자파가 인체에 무해하다는 사실을 알면서 쉬쉬했던 것은 아닌지, 환경영향평가를 하겠다고 해놓고 왜 뭉갠 것인지, 누가 뭉갠 것인지 밝혀내야 합니다."

당시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채널A에 "진행되는 상황을 잘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호영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태 홍승택
영상편집 : 이은원


김호영 기자 kimhoyoung11@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