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워싱턴 선언, 핵 포함된 업그레이드 조약”

  • 작년


[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김윤수입니다.
 
"핵이 포함된 한미 상호방위 조약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한국과 미국의 새로운 확장억제 강화 방안, '워싱턴 선언'의 핵심을 윤석열 대통령이 이 한 마디로 정의했습니다.

사실상의 '핵 공유'다, 아니다, 우리와 미국 측이 온도 차를 보인다는 지적이 일자 대통령이 직접 그 개념을 설명하면서 혼선을 정리하고 나선겁니다.

5박 7일간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윤 대통령의 귀국 보따리, 그 실질적 평가는 지금부터입니다.

미국 보스턴에서 조영민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국빈 방문 마지막 일정으로 하버드대 연설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은 워싱턴 선언을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규정했습니다.

[하버드대학교 연설]
"과거의 1953년에 재래식 무기를 기반으로 한 상호방위조약에서 이제 핵이 포함된 그런 한미 상호방위개념으로 업그레이드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이라고 이해를 하시면…"

미국의 전술핵을 동맹국 지역에 배치하는 나토식 핵공유보다 더 실효적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하버드대학교 연설]
"나토의, 다자와의 이런 약정보다는 더 저는 실효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요, 그리고 이런 확장 억제라는 개념이 하나의 선언에서 그치지 않고 어느 특정 국가와 문서로서 정리된, 아마 가장 첫 번째 사례라고…"

정권이 바뀌어도 되돌릴 수 없는 불가역적 성격임도 분명히 했습니다.

워싱턴 선언에는 핵확산금지조약 NPT를 존중하는 등 한국 정부의 의무도 담겨 있다면서 국내 일각의 자체 핵무장론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 연설]
"핵 무장을 하겠다고 마음을 먹으면 빠른 시일 내에 심지어는 1년 이내에도 핵무장을 할 수 있는 그런 기술 기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핵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한 기술의 문제만이 아니고…"

또 이번 워싱턴 선언이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한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국빈 방문을 통해 한미 동맹이 양자에 머무는 것이 아닌 국제무대에서 공동 리더십을 추구하는 단계로 격상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잠시 후 귀국길에 오릅니다.

미국 보스턴에서 채널A뉴스 조영민입니다.

영상취재 : 한규성 조승현(보스턴)
영상편집 : 김태균


조영민 기자 ym@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