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 논의 본격화…"요양기관 감염관리 강화해야"

  • 작년
일상회복 논의 본격화…"요양기관 감염관리 강화해야"
[뉴스리뷰]

[앵커]

정부가 이달 말 일상회복을 위한 구체적 계획과 시점을 제시하기로 했죠.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가 이와 관련한 첫 회의를 시작했는데,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체계 구축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1만 2,284명, 한 주 전보다 1,400여명 늘어났지만, 유행 추세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게 방역당국 판단입니다.

후행지표인 위중증 환자는 158명, 사망자는 15명으로 이 역시 주간발생 추이로 보면 꾸준히 하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부가 코로나 검사와 격리의무를 비롯해 일상 전환을 위한 조치별 조정계획과 시점을 이달 말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관련 논의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에서는 마스크 2단계 조정안 등을 논의하는 첫 회의가 열렸습니다.

"마스크의 경우는 언제 최종적으로 의무를 다 해제하나, 중간 단계가 있겠냐 이런 것들을 얘기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외국 자료들도 참고해서…"

방역당국은 앞으로 이어질 자문위 회의와 관계부처 논의 등을 거쳐 방역 전환 방향을 구체화한 뒤 코로나 위기단계가 하향 조정된 이후 시행할 방침입니다.

다만 코로나가 종식되는 게 아닌 만큼 정부가 요양병원 등 고위험군이 모인 시설의 감염관리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감염관리 관련한 투자들, 그런 부분들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해주든지 아니면 수가를 올려줘서 시설 등에 투자할 수 있게끔 만들어줘야 되는데…"

지난달 셋째주 한 주간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나온 확진자의 약 61%가 재감염인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 역시 이들 시설에 대한 선제 대응의 필요성을 방증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요양병원 #엔데믹 #일상회복 #감염관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