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량난 대책' 전원회의 종료…새로운 해법은 없어

  • 작년
북한 '식량난 대책' 전원회의 종료…새로운 해법은 없어

[앵커]

북한이 식량문제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해 나흘간이나 개최한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가 막을 내렸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해 곡물 생산 목표를 기어이 달성하자고 호소했지만, 회의에서는 눈에 띄는 농업 발전 대책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지성림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6일부터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가 끝났습니다.

작년 12월 말에 이어 두 달 만에 또 열린 당 전원회의에서는 농업 발전을 통한 식량난 해결 방안이 가장 중요한 의제로 논의됐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회의 '결론'에서 올해 농사부터 잘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국가의 자존과 인민의 복리를 위하여 올해 '알곡 고지'를 기어이 점령하고 농업 발전의 전망 목표를 성과적으로 달성해나가자고 열렬히 호소하시었습니다."

전원회의가 나흘간이나 열렸지만, 특별히 새롭거나 눈에 띄는 농업 발전 대책은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김 위원장이 제시한 과제는 관개공사 추진, 능률 높은 농기계 보급, 간석지 개간 등 경지 면적 확장, 농업 과학기술 발전, 정보당 곡물 수확량 제고 등으로, 모두 예전부터 추진해온 것들입니다.

특히 김 위원장은 농촌 발전 목표를 달성하려면 "결정적으로 농업 부문에 대한 당적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농업에 대한 당의 장악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미지만, 노동당의 통제와 감독이 식량난 해결에 도움을 줄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식량 공급체계 개선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북한은 개성 등지에서 아사자가 속출할 정도로 식량난이 심각해지자 악화한 민심을 달래려는 의도로 전원회의를 개최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이 같은 식량난은 지난해 10월 새로운 양곡 정책 도입에 따른 개인 간 곡물 거래 단속과 통제로 식량 분배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통일부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 (yooni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