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카메라]사느냐 죽느냐…선거가 바꾼 세종보 운명

  • 2년 전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 "4대강 사업을 잘 지키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정권이 바뀌고 지방권력이 교체되면서 금강 세종보 해체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점화되고 있습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제 뒤로 보이는 건 지난해 해체를 결정한 금강 세종보입니다.

그런데 최근 이 세종보를 존치하자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

그 논란의 현장으로 가 보겠습니다.

세종시를 가로질러 설치된 세종보.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4년간 수문을 개방해왔습니다.

물 흐름이 정체돼 수질이 악화되는 걸 막겠다는 이유였습니다.

결국 지난해 1월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완전 해체를 결정했습니다.

시기에 대해선 지역 여건을 고려해 결정하겠다고만 밝혔습니다.

그 사이 정권이 바뀌었고, 지방권력도 교체됐습니다.

국민의힘 소속 신임 세종시장이 윤석열 정부의 환경부 장관을 만나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자연친화적인 공간 조성을 위해 설치된 만큼 그대로 둬야 한다는 겁니다.

시민 반응은 엇갈립니다.

[세종시민]
"보를 막았을 때는 냄새가 심해서 되게 힘들었거든요. 보를 언제부터인가 열어놨더라고. 벌레 끓는 것도 많이 없어지고."

해체는 혈세 낭비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해체할 경우 이미 설치한 수력발전 기능도 사라지게 됩니다.

[최영락 / 세종보 보존위원회 위원장]
"국민 세금을 가지고 천 몇 억원을 들여서 했으면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쪽으로 발전해서 쓸 수 있느냐."

하류에 있는 공주보에서도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주보는 다리 부분은 유지하고, 물을 가두는 부분만 해체하기로 결정됐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15일부터 수문을 일시적으로 닫아 강 수위를 올려야 했습니다.

이유는 가뭄입니다.

인근 농민들은 물이 줄면서 더 깊은 지하수를 끌어올리느라 전기요금 폭탄을 맞았다고 말합니다.

[김윤호 / 공주보 인근 농민]
"양이 적어지면서 전기가 많이 들어가는 거죠. (펌프가) 계속 돌아가니까. (매월) 2만~3만 원이면 되는 걸 6만~7만 원씩 10만 원씩 이렇게 넘게 나오니까."

하지만 수문 개방 이후 녹조가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만큼 결정대로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임도훈 / 대전충남녹색연합 활동가]
"4~5년 동안 개방한 결과 눈에 띄게 (수질) 상황이 좋아졌고. 모니터링과 데이터를 토대로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보 처리방안이 결정된 것이고."

환경부는 즉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
"현재 감사원에서 감사를 진행하고 있거든요. 감사 결과가 나와 봐야 어느 정도 방향이 정해질 것 같습니다."

감사원은 4대강 보 해체 결정의 타당성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번까지 총 5차례 감사에 올랐고, 해체와 존치를 놓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갈등을 겪었던 4대강 사업.

이번에는 보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될지 주목됩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PD : 김남준 장동하


정다은 기자 dec@dong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