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 ICBM 발사 대응 논의 공개회의 시작 / YTN

  • 2년 전
미국 등 서방 6개국,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 요구
회원국 특별한 반대 없어 공개회의 개최
유엔 안보리, 2017년 북한 도발 뒤 제재 결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시험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태욱 특파원!

서방 국가가 요구해서 이뤄진 것인데요.

공개회의가 시작됐나요?

[기자]
하루 전인 어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와 알바니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등 6개국이 소집을 요구했는데요.

6개국은 북한의 ICBM 발사가 유엔 대북제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회의는 30분 전인 우리 시각 4시, 이곳 시각으로 25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됐습니다.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의 라나 자키 누세이비 대사의 발언으로 회의가 시작됐는데요.

이어 린다 토마스-그린필드 대사의 북한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과 제재 회피 노력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북한의 도발과 관련해 공개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회의 전망은 어떻습니까?

결의안 채택이나 공동성명까지 이를 수 있나요?

[기자]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북한이 '화성-15형'을 발사한 뒤 열렸습니다.

추가로 ICBM 발사를 하면 대북 유류 공급 제재를 자동으로 강화하는 조항이 담긴 2397호 결의를 채택했는데요.

화성 15형이 국제 사회가 꺼리는 전략무기였던 만큼 이에 대한 제재로 이어졌습니다.

북한의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도 당시에는 딱히 반대할 명분이 없었던 데 따른 것입니다.

안보리 결의 채택을 위해서는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고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서방과 러시아 간 신냉전에 가까운 구도가 형성돼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러시아의 협조를 얻기가 어려운 상황인데요.

이 때문에 의장성명 또는 언론성명이나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 같은 구체적 성과까지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러시아와 중국의 북핵 수석대표가 러시아에서 만나 관련 논의를 했는데요.

일단 북한의 도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만큼... (중략)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0326043505532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