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집무실’ 용산으로 발표만 남았다?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30~19:00)
■ 방송일 : 2022년 3월 17일 (목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경진 전 국민의힘 선대본 상근공보특보단장, 노동일 경희대 교수,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

[김종석 앵커]
용산 대통령 시대 이 이야기 지금부터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먼저 이도운 위원님. 앞서 김은혜 대변인이 돈 이야기를 조금 했는데 실제로 원래는 광화문 대통령, 정부서울청사나 외교부 청사를 조금 고민했었다가 이게 외교부 직원들도 또 다른 데로 가야 되고 이게 대략 500억 원인데 용산 국방부 되면 그게 5분의 1, 4분의 1 밖에 안 된다. 이 부분이 조금 고려가 된 겁니까?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실무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경호, 보안 그리고 비용 문제가 굉장히 중요한 이슈겠죠? 경호 같은 경우에는 지금 이제 광화문 그 서울청사에 비해서 주변에 용산 국방부는 주변에 고층 건물이 꽤 떨어져 있고 그래서 경호 상으로 보안 측면에서도 이미 도, 감청 방지 장치 등이 다 완비가 되어있고. 시위대가 접근하기도 쉬운 구조는 아니니까 그런 이점이 있고. 비용은 예를 들어서 이제 그 서울청사별관 같은 경우 외교부에서 외교관들이 다른 곳으로 이사를 하려면 새로 건물을 얻어야 되기 때문에 그것만 해도 한 500억 정도가 되는데 지금 그 국방부 같은 경우에는 신 청사가 있고 구 청사가 있고 또 합참청사도 있고 해가지고 그 안에서 공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냥 그 단순하게 이사 비용과 인테리어 비용 등 하면은 100억 선에서 조금 많이 들면 200억 선에서는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이제 계산을 하는데.

만약에 윤석열 당선인이 광화문이 아니라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결정한다면 이건 비용, 보안, 경호 같은 실무적인 문제가 아니라 조금 더 크게 역사적인 문제 이런 조금 거창한 문제로 우리가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1392년에 조선에 창건되고 그 한양에 도읍을 정한 게 2년 뒤인 1394년입니다. 그 이후로 조선 그다음에 대한제국 그다음에 일제, 미군정 그다음에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 권력의 핵심은 청와대였어요. 한 번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계산해 보니까 628년 만에 권력의 핵심이 청와대에서 다른 곳으로 나오는 겁니다. 특히 광화문이 아니라 용산으로 오게 되면은 서울의 중심이 종로가 아니라 용산으로 오는 거예요. 그래서 굉장히 이게 서울 전체로 봐도 또 우리나라 국가 전체로 봐도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이벤트가 지금 벌어지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윤하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