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한은총재·감사위원·선관위원 3자리 놓고 충돌

  • 2년 전


대체 왜 무산됐을까, 무산 기류는 어젯밤부터 저희 취재진에 포착됐는데요.

결국 인사권이 결정적이었습니다.

채널A 취재 결과, 이 세 기관의 후임 인사를 두고 신구 권력은 충돌했습니다.

안보겸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의 회동이 연기된 것은 인사 문제 때문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번 달 31일 임기가 끝나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후임과 공석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그리고 감사원 감사위원 두 자리가 갈등의 핵심입니다.

특히 한국은행 총재를 두고 양측의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문 대통령 측이 대통령 임기 중 임명권 행사는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히자, 윤 당선인 측은 후임 총재가 차기 정부의 금융정책과 발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임명하는 게 맞다고 맞선 것으로 전해집니다.

임기 4년인 후임 한국은행 총재와 사실상 임기를 같이해야 하는 윤 당선인은 문 대통령 측 의견을 전해듣고 '도가 지나치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앙선관위와 감사원의 공정성 논란이 있었던 탓에 공석인 선관위 상임위원과 감사원 감사위원 인사를 현 정부가 하는 것도 윤 당선인 측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 사면 문제는 이견이 있지만 회동 무산의 결정적 이유는 아니었습니다.

[장제원 /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
"사면 요청의 권한은 대통령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거를 우리가 답을 들어야 한다. 그런 걸로 지금 충돌하고 있는 게 아니니까."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가 임기 말에 공공기관과 공기업에 여권 인사를 앉히는 사례를 모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

영상취재 : 정기섭
영상편집 : 이희정


안보겸 기자 abg@dong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