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2주 만에 재개…방역패스 사라진 농구장

  • 2년 전
프로농구, 2주 만에 재개…방역패스 사라진 농구장

[앵커]

코로나 집단감염으로 리그 중단 위기를 맞았던 프로농구가 오늘(2일) 다시 시작됩니다.

2주 만에 재개되는 프로농구 현장의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조성흠 기자.

[기자]

네, 서울잠실학생체육관에 나와 있습니다.

오늘부터 프로농구가 다시 '점프볼'을 외칩니다.

코로나 집단감염으로 지난 16일 휴식기에 들어간 지 약 2주만입니다.

지난달 26일 기준, 프로농구는 선수 97명, 코치진 29명 등 126명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으며 그야말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특히 PCR 재검이 나온 선수들이 있는데도 경기 출전을 허용하며 리그를 강행하다 사태를 키웠는데요.

다시 시작하는 프로농구,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는 만큼 무엇보다 안전하게 완주하는 게 중요해졌습니다.

일단 오늘 경기에 출전하는 SK와 KGC 인삼공사 양 팀 선수들은 어제 신속항원검사에서 전원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달 22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각 구단은 리그 재개 첫 경기에 한해 하루 전까지 신속항원검사나 PCR 검사 결과에서 음성이 확인돼야 출전이 가능합니다.

코트 밖에서의 신체 접촉은 최대한 차단됩니다. 경기 종료 후 별도 인사 없이 지정된 라커룸으로 바로 이동해야 하고요.

경기에 배정된 심판 3명 모두 당일 자가진단키트 음성 확인이 필수이며, 휘슬도 비말방지용으로 교체했습니다.

[앵커]

이달부터 정부가 방역패스 적용을 일시 중단했는데, 프로농구 경기장도 적용이 되죠?

[기자]

네. 이달 들어 정부가 다중이용시설 방역패스 적용을 중단하면서 프로농구 역시 관중 입장 시 방역패스가 사라졌습니다.

즉,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도, 음성 확인서가 없어도 경기를 즐길 수가 있게 된 건데요.

달라지는 건 딱 이 부분뿐입니다.

입장 시 체온 측정, 손 소독을 하는 건 여전하고요.

좌석 사이 거리두기, 좌석 간 이동 금지 등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축구장 등 실외스포츠경기장과 달리 배구와 농구 등 실내스포츠경기장에선 여전히 물과 무알콜 음료 외엔 취식이 불가능합니다.

선수단과 관중의 동선은 철저히 분리되기 때문에 서로 간 코로나 전파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실내 공간에서 백신 미접종자, 밀접접촉자 등이 입장해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구단 자체 방역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잠실학생체육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akehmm@yna.co.kr)

#프로농구 #방역패스 #코로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