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앵커]
88살을 일기로 선종한 교황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이름만 새긴 채 땅에 묻어 달라"

평생 청빈한 삶을 산 프란치스코 교황은 떠날 때도 소박했습니다.

마지막 안식처는 바티칸의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생전 애정이 깊던 로마의 성당입니다. 

먼저 장하얀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프란치스코 교황이 살던 산타 마르타의 집 양쪽 문고리에 빨간 리본을 감고, 매듭 위에 밀랍 도장을 찍어 봉합니다. 

교황청 궁무처장 케빈 패럴 추기경이 문이 잘 닫혔는지 확인합니다. 

애도 기간이 시작됐음을 선포하면서 교황 직이 공식적으로 끝났음을 상징하는 절차입니다. 

같은 날 오후, 산타 마르타의 집 예배당에서는 교황의 입관식이 거행됐습니다. 

스위스 병사 두 명이 지키는 가운데 관에 누운 교황의 시신에 성수가 뿌려집니다. 

교황청은 이날 교황의 사망 원인을 ‘뇌졸중에 따른 심부전’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와 함께 2022년 6월 작성한 유언장도 공개 됐습니다.  

"지상의 삶의 석양이 다가오고 있음을 느낀다. 매장 장소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 싶다"며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안식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프란치스코'라는 이름만 새겨지길 원한다"고도 전했습니다.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로마의 4대 대성당 중 하나로 교황이 생전에 자주 방문했던 곳입니다.

교황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다른 곳에 안장되는 것은 100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마지막까지 낮은 자세를 보인 교황의 모습에 교황청과 천주교 신도들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엔조 포투나토 / 신부]
"형제, 친구, 항상 곁에서 응원하는 친구를 잃은 기분입니다."

교황청은 입관식에 이어 진행된 추기경단 회의에서 교황의 장례식을 26일 열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

영상편집 : 허민영


장하얀 기자 jwhit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88살을 일기로 선종한 교황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00:05이름만 새긴 채 땅에 묻어달라 평생 청빈한 삶을 산 프란치스코 교황은 떠날 때도 소박했습니다.
00:13마지막 안식처는 바티칸의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생전 애정이 깊던 로마의 성당입니다.
00:20먼저 장하얀 기자가 전합니다.
00:22프란치스코 교황이 살던 산타마르타의 집 양쪽 문꼬리에 빨간 리본을 감고 매듭 위에 밀랍 도장을 찍어 봉합니다.
00:34교황청 국무처장 케빈 페럴 추기경이 문이 잘 닫혔는지 확인합니다.
00:39애도 기간이 시작됐음을 선포하면서 교황직이 공식적으로 끝났음을 상징하는 절차입니다.
00:46같은 날 오후 산타마르타의 집 예배당에서는 교황의 입관식이 거행됐습니다.
00:53스위스 병사 2명이 지키는 가운데 관에 누운 교황의 시신에 성수가 뿌려집니다.
00:59교황청은 이날 교황의 사망 원인을 뇌졸중에 따른 신부전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01:05이와 함께 2022년 6월 작성한 유언장도 공개됐습니다.
01:09지상에 삶의 석양이 다가오고 있음을 느낀다.
01:14매장 장소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 싶다며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안식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01:22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프란치스코라는 이름만 새겨지길 원한다고도 전했습니다.
01:29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로마의 4대 대성당 중 하나로 교황이 생전에 자주 방문했던 곳입니다.
01:36교황이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다른 곳에 안장되는 것은 100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01:44마지막까지 낮은 자세를 보인 교황의 모습에 교황청과 천주교 신도들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01:51교황청은 입관식에 이어 진행된 추기경단 회의에서 교황의 장례식을 26일 열기로 했습니다.
02:06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