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13.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 간밤에 또 말이 바뀌는 것 같아요.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전자기기를 제외했다. 그래서 애플 맞춤형이다, 이런 말도 나왔었는데 또 그것은 가짜뉴스라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SNS에 글을 올렸어요. 삼성과 애플 쪽에는 다시 악재가 생겼다고 봐야 되는 것 아닙니까?

◇ 서은숙 : 그렇죠. 사실 어떻게 보면 무역확장법 232조 이거에 대해서 법적 해석 문제에 대해서 혼란이 있었다라고 해석을 할 수가 있어요. 간밤에 나온 뉴스들을 종합해 보면. 사실 관세 정책에 대한 혼선이 어디서 생겼냐면, 그러니까 미국 세관국경보호국 CBP가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품목코드를 발표한 것에서 문제가 됐는데요. 이게 보면 사실 상호관세 면제가 있고 그다음에 품목별 관세 검토가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에 스마트폰, 노트북, SSD, 메모리카드, 일부 전자제품을 관세 면제 대상이라고 발표했는데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의 발언이 이것과 다른 결을 보이고 있다는 거죠. 그런데 문제는 뭐냐 하면 이 미국이 품목결 관세를 어차피 부과시킬 것이기 때문에 상호관세랑 중복되지 않도록 그 부분을 유예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데 반도체는 미국의 전략적 중요한 자산으로 잡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관세 부과를 반드시 할 거고 그다음에 유예를 시키는 상황은 없을 것이다라고 발표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앵커 : 말씀하신 대로 미국이 현지 시간으로 14일에 세계 반도체 산업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하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예정이 되어 있는데 어떤 내용이 담길 거라고 보세요?

◇ 서은숙 : 이게 어떻게 보면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굉장히 바꾸는 중대한 사안이다라고 우리가 생각을 할 수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반도체를 아까 조금 전에 얘기했던 무역확장법 232조, 이게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품목이거든요. 이것을 적용해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굉장히 예고를 한 상황이다라고 볼 수가 있고요. 특히 전자제품 전체가 결국은 반도체 범주에 속한다라고 하는 것...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14081404488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간밤에는 또 좀 말이 바뀌는 것 같아요.
00:02상호 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전자기기를 제외했다.
00:06그래서 애플 맞춤형이다. 이런 말도 나왔었는데
00:09또 그거는 가짜 뉴스라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SNS에 글을 올렸어요.
00:14삼성과 애플 쪽에는 다시 악재가 생겼다고 봐야 되는 거 아닙니까?
00:18그렇죠. 사실 이제 어떻게 보면 무역 확장법 232조에 대한 법적 해석 문제에
00:25조금 혼란이 있었다고 해석을 할 수가 있어요.
00:28간밤에 나온 뉴스들을 좀 종합을 해보면
00:30사실 관세 정책에 대한 혼선이 어디서 생겼냐면
00:34미국 세관 국경보호국 CBP가 지난 11일 밤 상호 관세에서
00:40제외되는 수입품의 품목 코드를 공지한 데서 뒤로시됐는데요.
00:44이게 보면 사실 상호 관세 면제가 있고
00:48그다음에 품목별 관세 검토가 있습니다.
00:51그런데 이제 기존의 스마트폰, 노트북, SSD, 메모리 카드
00:56그다음에 디스플레이 패널, 일부 전자제품을 관세 면제 대상이라고 행정부가 발표를 했는데요.
01:02하워드 러터닉 미국 상무 장관의 발언이
01:06좀 굉장히 이거와 다른 결을 보이고 있다는 거죠.
01:10그런데 문제는 뭐냐면
01:10미국이 품목별 관세를 어차피 부가시키기 때문에
01:18상호 관세랑 중복되지 않도록 그 부분을 유예했다고 해석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1:22그래서 그런데 이제 반도체는 미국의 어떻게 보면 전략적 굉장히 중요한 자산으로 잡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01:29관세 부과를 반드시 할 거고
01:33그다음에 유예를 시키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지금 발표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01:38말씀하신 대로 미국의 현지 시간으로 14일에
01:41세계 반도체 사덤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01:45말씀하신 이제 반도체 품목별 관세와 관련한 발표가 있을 것이다.
01:49이렇게 예정이 되어 있는데 어떤 내용이 좀 담길 거라고 보세요?
01:51이게 이제 보면은 어떻게 보면은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굉장히 바꾸는 중대한 사안이다라고
01:58우리가 생각을 할 수가 있는데요.
02:01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 반도체를 아까 조금 전에 얘기했던 무역 확장법 232죠.
02:07이게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품목이거든요.
02:10이거를 적용해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굉장히 예고를 한 상황이다라고 볼 수가 있고요.
02:17특히 이제 전자제품 전체가 결국은 반도체 범죄에 속한다.
02:21라고 하는 것이 상모 장관 발언입니다.
02:24그래서 반도체를 포함한 관련 전자제품 전반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게 점쳐지고요.
02:32그리고 이제 중국산 반도체 및 관련 제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고율 관세가 지금 예상되고 있고요.
02:39어떻게 보면은 관세 부과 외에도 미국 내에 반도체의 생산 설비 확대라든가
02:45그 다음에 반도체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좀 강력한 수출 통제 조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02:55알겠습니다.
02:55지금 미국의 무역 확장법 232조와 계속 거론이 되는데
02:59이거는 외국산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에 긴급히 수입을 제한하거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
03:06이런 것들을 말씀해 주시는 겁니다.
03:08감사합니다.
03:09감사합니다.
03:10감사합니다.
03:11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