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추진했던 '청와대 전면개방'이 다음 달로 3년이 됩니다.

대통령 파면으로 마지막이 될까 봐 청와대 관람객이 늘었다는 보도들이 나왔는데, 사실인지 따져봤습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22년 윤 전 대통령이 임기 시작과 함께 용산으로 집무실을 옮기면서 청와대는 전면 개방됐습니다.

현직 대통령이 머물고 있어 제한적 관람이 가능했던 이전과 달리, 대통령 관저가 처음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임연순·이도재 / 청와대 관람객 (지난 2022년) : 영부인께서도 채소를 심어 잡수셨는지 텃밭이 있더라고요. 근데 파 하나가 있는 거예요. '우리하고 사는 건 다 똑같구나' 그런 생각을 했어요.]

지난달 전면 개방 2년 10개월 만에 누적 관람객 7백만 명을 넘은 가운데, 지난주 파면 선고 뒤 후임 대통령이 다시 복귀하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에 관람객이 몰렸다는 보도들이 쏟아졌습니다.

파면 이전 토요일과 일요일 만여 명 수준이던 청와대 관람객이 지난 4일 대통령 탄핵 뒤 첫 주말과 휴일에 만6천 명으로 뛰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시기 주말·휴일 관람객은 이보다 더 많은 2만 명대였고, 2023년엔 토요일과 일요일을 합쳐 2만6천 명을 넘었습니다.

파면 직후 휴관일을 뺀 5일 동안 3만 6천여 명 관람객이 들었는데, 지난해 비슷한 시기엔 4만3천 명을 넘었고, 2023년엔 4만 명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재단 관계자는 청와대 관람이 날씨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데, 점차 따뜻해진 게 관람객 수를 끌어 올린 이유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그동안 시위대로 교통이 통제돼 방문을 주저했던 관람객들이 늘어난 요인도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청와대 옆 경복궁도 청와대 관람 추이와 비슷하게 파면 직후 주말과 휴일 관람객이 크게 는 것도 이러한 맥락입니다.

현직 대통령 파면 직후 청와대 복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일면서 관심이 커진 건 맞지만, 탄핵 선고의 영향으로 관람객이 늘었다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이가은





YTN 김승환 (k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0412011712387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추진했던 청와대 전면 개방이 다음 달로 3년이 됩니다.
00:06대통령 파면으로 마지막이 될까봐 청와대 관람객이 늘었다는 보도들이 나왔는데 사실인지 따져봤습니다.
00:13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00:18지난 2022년 윤 전 대통령이 임기 시작과 함께 용산으로 집무실을 옮기면서 청와대는 전면 개방됐습니다.
00:25현직 대통령이 머물고 있어 제한적 관람이 가능했던 이전과 달리 대통령 관저가 처음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00:47지난달 전면 개방 2년 10개월 만에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넘은 가운데
00:52지난주 파면선고 뒤 후임 대통령이 다시 복귀하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에 관람객이 몰렸다는 보도들이 쏟아졌습니다.
01:02파면 이전 토요일과 일요일 만여 명 수준이던 청와대 관람객이
01:06지난 4일 대통령 탄핵 뒤 첫 주말과 휴일에 만 6천 명으로 뛰었기 때문입니다.
01:12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시기 주말 휴일 관람객은 이보다 더 많은 2만 명대였고
01:172023년엔 토요일과 일요일을 합쳐 2만 6천 명을 넘었습니다.
01:23파면 직후 휴관일을 뺀 5일 동안 3만 6천여 명 관람객이 들었는데
01:27지난해 비슷한 시기엔 4만 3천 명을 넘었고
01:312023년엔 4만 명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01:36재단 관계자는 청와대 관람이 날씨 영향을 가장 크게 봤는데
01:39점차 따뜻해진 게 관람객 수를 끌어올린 이유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01:44또 그동안 시위대로 교통이 통제돼 방문을 주저했던 관람객들이
01:48늘어난 요인도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01:52청와대 옆 경복궁도 청와대 관람 추이와 비슷하게
01:55파면 전후 주말과 휴일 관람객이 크게 는 것도 이러한 냉락입니다.
02:01현직 대통령 파면 직후 청와대 복귀를 두고 감론을 박이 일면서
02:05관심이 커진 건 맞지만 탄핵 선고의 영향으로 관람객이 늘었다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02:11YTN 김승환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