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산 휘발유차에 25% 보복관세?…중국-EU, 관세 협상 시작

  • 어제
EU산 휘발유차에 25% 보복관세?…중국-EU, 관세 협상 시작

[앵커]

중국이 유럽연합, EU와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 문제를 놓고 협상을 시작합니다.

중국에서는 이에 맞서 유럽산 휘발유차에 25% 고율 관세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독일이 중재자 역할을 자임했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산 전기차는 지난해 EU 시장 점유율을 19.5%까지 높였습니다.

자체 공급망을 갖춘 데다, 인건비도 낮아 유럽차 대비 차 값이 20% 정도 저렴해 관세가 10%나 붙었는데도 유럽 시장을 잠식했습니다.

EU가 다음 달부터 최고 38%의 상계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것은 유럽 자동차 공급망을 지키기 위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독일 자동차업체들의 반대에 직면했습니다.

중국 전기차에 고율 관세를 매기면 유럽산 대형 휘발유차에 25%의 보복관세를 물리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을 찾은 독일 경제 부총리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독일은 유럽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면서 중국 전기차 산업에 투자를 늘려왔습니다.

"중국과 독일 등 수출 지향 국가들은 시장 분리 경향에 맞서 노력해야 합니다. 저는 (보호무역주의를) 원하지 않습니다. 유럽의 누구도 관세를 원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에 맞서 중국은 자국기업 보호 조치에 팔을 걷어붙인 상태로, 식품 전반의 수입 문턱을 높이고, 핵심 원자재 수출 중단 카드까지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유럽 역시 긴장할 수밖에 없는 대목으로, 중국과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는 앞서 언급한 몇 가지 우려 사항에 대해 조사를 수행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이런 행동은 양쪽 모두에게 해롭고, 이익이 되지 않고 해를 끼칠 것입니다."

EU의 관세 인상 조치는 오는 11월까지 회원국의 다수결 투표를 남겨두고 있어서 양측 간 타협의 여지는 있습니다.

미중 전략경쟁 속에 유럽 시장이 중요한 중국도 보복 수단 대신 협상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입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kr)

#유럽고율관세 #中보복관세 #中-EU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