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장마·폭염 예고…'자동차 보험료' 인상 우려

  • 그저께
역대급 장마·폭염 예고…'자동차 보험료' 인상 우려
[뉴스리뷰]

[앵커]

통상 여름은 기후 요인들로 자동차 보험 손해율이 오르는 계절로 꼽힙니다.

올해 역대급 폭염과 장마가 합쳐지면 더욱 가파르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이럴 경우 소비자들의 보험료 인상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83.9%.

지난해 동기보다 4.2%포인트 올랐습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급한 보험금을 수입 보험료로 나눈 값으로, 업계는 적정 손해율을 80% 수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실상 적자 구간에 진입한 셈인데, 이는 최근 연속으로 보험료가 인하되고 코로나 사태 이후 차량 운행이 늘어난 요인이 큽니다.

올해 개인용 자동차 기준 대형 보험사의 평균 보험료는 2.6%, 중소형사와 비대면사는 1.3% 내렸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름 되면 (손해율이) 우상향해서 올라가요. 침수가 나오거나 태풍이 오거나 하면 당연히 손해율은 올라가요. 매년 그랬어요."

지난해 7월 12개 손보사에 접수된 누적 차량 침수 건은 1,000여건, 추정 손해액은 89억원이었습니다.

특히 올여름은 이상기후로 역대급 폭염을 기록 중인 가운데 강수량 역시 예년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코로나19가 끝나면서 자동차 통행량도 늘어난 상황.

올해 하반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오르면 내년 차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보험료 인상은) 손해율이 얼만큼 올라갈지에 따라 좀 달려있을 텐데, 보험금 누수를 관리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될거고, (사고) 위험도에 따른 보험료 책정 정책이 또 필요하다는 얘기죠."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 인상의 요인이 되는 건 당연하지만, 이에 앞서 보험사들이 과연 자동차보험을 합리적으로 운영해왔는지도 면밀히 따져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soup@yna.co.kr)

#자동차보험손해율 #침수 #폭염 #보험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