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임금 악순환 우려…부총리 "과도한 인상 자제"

  • 2년 전
물가-임금 악순환 우려…부총리 "과도한 인상 자제"

[앵커]

월급 빼고 안 오르는 게 없다보니 최근 이 월급도 올려달란 요구가 커지고 있죠.

그러자 물가와 임금이 서로를 자극하는 악순환의 시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데요.

경제부총리가 기업들에게 과도한 임금 인상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는 지난달 노사협의회에서 올해 평균 임금 인상률을 9%에 합의했습니다.

최근 10년 내 최대 인상률이었던 지난해 7.5%보다 1.5%포인트 높은 수준입니다.

협상이 타결된 LG전자도 평균 임금 인상률이 8.2%에 달했고, 현대자동차 노조도 호봉승급분을 제외한 월 16만5,200원의 기본급 인상안을 사측에 요구한 상태입니다.

지난해 실적이 좋았던데다, 최근 급등한 물가 탓에 실질 구매력이 낮아져 불가피하다는 게 임금 대폭 인상의 명분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임금이 오르면 인건비가 높아져 물가가 오르고, 다시 물가가 임금을 자극하는 일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 인건비 비중이 큰 서비스업의 생산자물가는 작년 대비 줄곧 2%대 상승률을 보였지만 5월에는 3%선을 넘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와 간담회를 가진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사간 자율적으로 결정할 부분"이라면서도 일부 IT 기업과 대기업의 과도한 임금 인상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과도한 임금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욱 확대시키고 상대적 박탈감도 키우고 있습니다, 사회 갈등을 증폭시킬 우려도 있습니다."

다만 추 부총리가 기업의 임금 인상 자제까지 요청한 것을 두고 정부가 물가 상승을 막아낼 마땅한 수단이 없는 것 아니냔 해석이 나옵니다.

또 주 52시간제 개편 등에 이은 임금 인상 자제 발언이 노동계의 반발을 사 실행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추경호 #고물가 #월급 #임금인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