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반도 문제서 우리 방식으로 건설적 역할…북러 교류는 필요"

  • 그저께
중국 "한반도 문제서 우리 방식으로 건설적 역할…북러 교류는 필요"

[앵커]

중국은 북러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양국 간 정상적인 교류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스스로의 방식으로 건설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는데요.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한중 외교·국방 고위급 회담 종료 거의 하루 만에 결과를 내놓은 중국.

한국이 우려하고 있는 북러 정상회담을 통한 양국 교류 협력 확대에 대해서는 "북러가 우호적 이웃으로 관계 발전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두 주권국가의 양자 일정"이라고도 강조했는데, 주권국가 간 고위층 교류에 대해 왈가불가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이해됩니다.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는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스스로의 방식'이라는 점이 포함됐습니다.

다만 우리 측이 언급했던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 바란다"는 부분은 중국 측 발표에선 빠졌습니다.

북러 협력에 대한 견제성 발언으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어서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줄곧 사안 자체의 옳고 그름에 근거해 자기 입장을 결정하고. 스스로의 방식으로 계속해서 한반도 사무에서 건설적 역할을 해나갈 것입니다."

중국 관영지도 "북러가 더 가까워지는 것은 합리적 선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미국과 동맹국이 두 나라를 고립시키려는 전략이 양국의 협력을 이끌었다"는 건데, "북러의 협력이 미국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한중 간 '2+2' 대화에 대해 "양자 차원을 넘어선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했습니다.

"양국이 양자 대화 확대를 통해 동북아에 더 많은 안정을 불어넣고, 최대한 많은 완충 장치를 가지길 희망한다"고도 말했습니다.

북러가 가까워지는 만큼 한중 역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측면으로 이해되는 부분입니다.

중국은 북러 협력에 대해 원칙적으로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이른바 '신냉전'을 고착화할 수 있는 대결 구도는 반대하고 있습니다.

북러 간 군사협력이 강화되면 자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는 만큼 불편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겁니다.

중국 일각에서는 한중 간 긴밀한 소통·협력이 진영 대결과 신냉전의 소음을 상쇄할 수 있다고 평가했는데, 북러 관계 강화에 맞선 한중 관계 변화가 견제 역할을 할지 관심입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kr)

#북러정상회담 #中관영매체 #한중2+2대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