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아빠랑 놀아야 더 행복해요"…늘봄보단 '가정'

  • 지난달
"엄마 아빠랑 놀아야 더 행복해요"…늘봄보단 '가정'

[앵커]

맞벌이하면서 어린 자녀를 학원이나 돌봄 시설에 맡기는 분들 많이 계시죠.

아이들을 직접 돌보고 싶지만, 여건이 되지 않는 탓일 텐데요.

이 같은 상황이 아이들의 행복지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환경이 필요한지, 안채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팍팍한 경제 상황에 맞벌이 가구 비중은 날로 높아지는 상황.

바쁜 부모들과 함께하기 힘든 아이들은 학교를 마치고 집보다 학원으로 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술, 수학, 피아노, 줄넘기 등등 골고루 다녀요."

"(엄마 아빠랑) 놀고 싶은데 엄마가 바빠요."

한 아동복지전문기관 조사 결과, 아이들이 방과 후 시간을 누구와 어디서 보내느냐에 따라 실제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복지수가 높은 아이들은 보통이거나 낮은 아이들보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53분 더 긴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혼자 보내는 시간이 31분 더 적었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은 17분 정도 더 많았습니다.

정부는 아이 돌보기 힘든 부모들을 위해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아이들을 맡아주는 늘봄학교를 도입했는데,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할 시간을 늘려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학교 돌봄을 부모가 가장 원하고 있으니 학교 돌봄 강화는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대안…아이들에게 바람직하기는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게…"

맞벌이 부모들 또한 일과 가정이 양립하기 위해 육아 시간 확보와 육아지원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어린이날만이 아닌 365일 아이들이 웃음을 잃지 않고 가능한 많은 시간을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 (chaerin163@yna.co.kr)

[영상취재 기자 황종호]

#어린이날 #행복 #가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