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8월 민주당 전당대회 출마설 점화?

  • 2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A 라이브 (12시~13시 20분)
■ 방송일 : 2024년 4월 12일 (금요일)
■ 진행 : 이용환 앵커
■ 출연 : 강전애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 김수민 정치평론가, 송영훈 전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 성치훈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이용환 앵커]
제22대 총선에서 압승을 한 더불어민주당. 그 더불어민주당을 이끌고 있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권 가도에 빨간불? 아니요. 녹색불, 청신호가 켜졌다. 이런 해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특히나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글쎄요. 약간의 표정 관리에 들어간 듯합니다, 이렇게요. 확인해 보시죠.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요즘의 얼굴에서 웃음기가 사라졌다,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오늘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번에 22대 총선에서 당선이 된 당선인들과 함께 동작구에 있는 현충원을 참배했습니다. 오늘 오전 모습이에요. 사람들이 많습니다. 당선인들이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죠.

이번에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에서 몇 석입니까? 161석 그리고 비례가 14석 해서 175석을 차지하게 됐는데. 당선인들과 함께 오늘 동작구 현충원을 참배했습니다. 방명록에 무엇이라고 적었나요? 한 번 볼까요? 함께 사는 세상 국민께서 일군 승리입니다. 민생정치로 보답 드리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재명. 역시나 약간의 낮은 자세 이런 기조를 계속 유지해 나가고 있다. 이번 총선 압승 이후에 이런 건데요. 제가 오늘 시작하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권 가도에 파란불이 켜졌다, 이런 말씀을 드렸는데 일각에서는 이러한 관측이 나옵니다. 이재명 대표가 다음 대선을 위해서 차근차근 스텝 바이 스텝 이렇게 나가지 않겠느냐, 이런 것인데.

이재명 대표의 이번 당 대표 임기가 올해 8월 28일에 끝납니다. 8월 28일에 끝나면 다시금 한 번 당 대표직에 도전한다, 이것이죠. 전대에 다시 한 번 출마를 한다. 그래서 당 대표를 한 번 더 한다. 한 번 더 하면 언제 까지겠습니까? 당 대표 임기는 2년입니다. 2026년 8월 28일까지 일단 당 대표를 한 번 더 하고 대통령 선거 언제 있죠? 2027년 3월에 있습니다. 당 대표를 연임을 하고 잠시의 몇 달 기간의 공백기를 가졌다가 자연스럽게 대권에 출마하는 이런 로드맵을 가져가고 있다, 이런 해석이 나오는데. 송영훈 변호사님, 지금까지 제가 말씀드린 포인트 가운데 특별히 하실 말씀이 있으실까요? 어떻습니까?

[송영훈 전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
8월에 전당 대회가 경선이 열리는 것은 맞나요? 제가 민주당에 계시는 분께 사석에서 듣기에는 이재명 대표 추대할 수도 있다, 이런 이야기도 들리거든요. (추대요?) 그러니까 민주당이 지난번 공천 과정에서 소위 비명횡사로 인해서 이재명 대표와 유의미하게 경쟁할 만한 당권 주자는 다 이번에 등원을 하지 못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임종석 전 실장이라든가 박용진 의원이라든가 그래서 유의미한 경쟁자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이재명 대표 혼자 출마하게 되지 않겠느냐, 이런 이야기를 하시는 분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어쨌든 경선이 될지 추대가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이재명 대표는 과거에 구속 영장 기각이 될 때도 전당의 현직 대표로서 공적 감시와 비판의 대상인 점이라는 이유 때문에 구속 영장 기각이 됐기 때문에 아마도 경선 출마든 추대든 차기 당 대표를 포기하지는 않을 것 같고. 그렇다면 앞으로 이재명 대표가 만약 당 대표를 한 번 더 한다면 지금 175석이라고 하는 그 무게에 걸맞은 책임을 져야 될 것이다, 그런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 정치권에서 새롭게 나오기 시작한 용어가 집권 야당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집권 야당, 여당이 아니라?) 그렇습니다. 범야권이 192석이나 되기 때문에 이제 대통령의 권한 아주 작은 권한 정도만 빼놓고는 전부 야권에 힘이 넘어갔다고 봐야 하고 그러면 그것에 따른 책임도 야당 대표가 져야 하는데. 이재명 대표가 한 번 더 하겠다고 하면 앞으로 그 책임도 모두 져야 될 것이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